▲2014년 9월 23일 정부가 발표한 안전혁신 마스트 플랜의 분야별 세부과제들이다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안전을 기업에게 맡긴다고?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꼴물론 정부는 '안전혁신 마스터 플랜'에서 ▲ 생활 속 안전문화 확산 ▲ 재난안전 인프라 확충 ▲ 분야별창조적 안전관리를 5대 전략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사실상 양념 식으로 곁들여진 안전대책에서 별다른 실효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이 3가지 과제에서 거론된 '민관합동' 의 '민' 은 사실상 기업이기 때문에, 그 우려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기업의 이윤보장을 위해 안전문제가 도외시 되었던 그간의 과정에 대한 진지한 반성과 성찰은 도무지 찾아볼 수 없어 더욱 그렇다. 작년부터 언급되기 시작한 정부의 안전산업 육성 방안에서도 방점은 '안전' 이 아니었고, '안전산업' 을 육성해 '수출' 주력분야로 육성하겠다는 입장이 제기되어 왔다.
특히 올해 정부는 각종 안전진단과 점검 분야를 민간에 대폭 개방하겠다며, 상반기에 가스 안전진단 분야를 민간에 시범 개방한 뒤 교량, 터널, 댐 등으로 확대 적용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해 사실상 정부(공공기관)의 몫까지 기업에게 내주겠다고 선언해 버림으로써 국가의 역할을 포기해 버렸다고 할 수 있다.
거론조차 되지 않은 노동안전정부의 이번 '안전혁신 마스터 플랜' 중 ▲ 분야별창조적 안전관리에는 '항공, 도로, 산업단지, 에너지, 철도' 등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노동안전(산업안전) 정책은 찾아볼 수 없다. 모든 분야에서 안전을 담당하고 책임지는 노동자들은 우선적으로 정규직화 되어야 하고, 시민과 노동자들에게는 위험 요인과 안전 관련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알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일선에 있는 노동자들에게 위험을 예방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작업중지권이 부여되어야 한다. 이런 과제는 노동자의 안전이 곧 시민의 안전과 직결된다는 문제의식 하에 세월호 참사 이후 시민사회가 끊임없이 주장하고 요구하던 내용이다.
그러나 이런 다양한 과제들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이완구 국무총리가 '안전혁신 마스터 플랜'을 발표하며 "안전관리는 재난 현장에서 얼마나 잘 작동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며, "이론이 아닌 실제적인 대응체계를 갖출 것"을 주문한 것에 비추어 본다면, 위험상황을 1차적으로 마주해 이를 통제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권한은 해당 노동자에게 부여되어야 한다. '안전대책' 과 '대응매뉴얼'이 실제 작동할 수 있으려면, 그에 걸맞은 예산과 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안전혁신 마스터 플랜'은 가장 기본적인 국민의 '안전'까지 결국 '기업'에게 맡겨버리고, 국가의 역할을 포기하는 선언을 했다는 점에서 박근혜 정부가 세월호 참사를 통해 얻은 교훈이 무엇인가를 진지하게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는 모든 노동자의 건강하게 일할 권리와 안녕한 삶을 쟁취하기 위해 활동하는 단체입니다
공유하기
안전을 기업에 맡긴다? - 세월호 1년, 정부 안전정책 평가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