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에 대한 생각

[광복 70년 분단 70년 통일 염원시 19]

등록 2015.08.06 09:11수정 2015.08.06 09:12
0
원고료로 응원
분단 70년,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의 골이 깊습니다. 이념적 갈등도 여전합니다. 좀처럼 변하지 않는 분단 현실 속에서, 문학의 감동이 '마음으로 하나가 되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는 믿음으로 '천만의합창국민위원회'와 <오마이뉴스>가 함께 통일를 염원하는 시를 연재합니다. 국내 시인과 사할린 동포 시인, 특히 재일조선인 시동인회 <종소리>의 시인들이 함께 뜻을 모았습니다. 작은 실천과 그것을 가능케 하는 열정이 모일 때 통일이 성큼 오리라 믿습니다. [편집자말]
a

통일대교 통일대교의 끝자락이다. 저 너머 관문을 지나면 민간인통제구역이다. 파주시 장단면이다. ⓒ 녹색연합


박청순

'통일'
이 말에 어떤 이는
'태극기'를
련상한단다

그 뜻이 뭐냐 물어 보더니
어릴 때 교실에서
맹세 다진 기억이
그렇단다

'통일'
이 말에 어떤 이는
'걱정'이란 말을
련상한단다

그 뜻이 뭐냐고 물어 보더니
남북으로 갈라져 60년
사람들 생각도 생활도 다르잖냐
그렇단다

'통일'
이 말에 어떤 이는
'먼 기적'이란 말을
련상한단다

그 뜻이 뭐냐고 물어보더니
꿈이고 리상이라
현실과는 멀고 또 멀잖냐
그렇단다


'통일'
이 말에 난
눈을 뜨고 서로를 보고
리해하고 아는 게 먼저라 생각한다

서로가 가지는 아픔
심장으로 알고
진심으로 리해하고
뜨겁게 사랑을 하는 거라고


'통일'
이는 그 누가 이룩해주는 건 아니라고
우리가 저 장벽을 부수거는지
우리 민족의 힘으로 부수는게 뜻이 있다고

똑같은 민족의 향기 서로가 맡아
그 따뜻함을 느껴야만
잠깐 미워를 했었어도
만나고 사랑을 해야 통일을 할 수 있다고

박청순 시인은
-1960년 일본 도치기현 출신.  본적은 경상남도 산청군
-조선대학교 문학부 졸업
-1983년~1996년 이바라기조선초중고급학교 국어교원
-작품<색동저고리 통일저고리>가 공화국의 <군중문학작품현상모집> 3등

#통일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의 뉴스 아이디


AD

AD

AD

인기기사

  1. 1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2. 2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3. 3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이시원 걸면 윤석열 또 걸고... 분 단위로 전화 '외압의 그날' 흔적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