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도서관 건너편에 위치한 자연조산원
류외향
어차피 단골에 기댈 수 없는 상황이라 손님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방책이 필요했다. 남편은 건물 옆 구석에 만들어놓은 외부 주방을 길가로 옮겼다. 건물 앞쪽으로 야외 탁자들이 놓여 있었고, 그 탁자들과 길의 경계지점 한쪽에 화덕을 옮기고, 짬뽕을 볶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우리 가게만 짬뽕을 팔았다. 짜장 소스는 한꺼번에 많이 만들어놓고 팔 수 있지만, 짬뽕은 그때그때 만들어야 한다는 게 남편의 변함없는 지론이었다. 아침 첫 배가 들어오고 사람들이 걸어 들어올 무렵, 주문이 없어도 남편은 짬뽕을 볶으며, 웍을 힘차게 흔들며 '불쇼'를 보여주고 냄새를 풍겼다. 그러면서 남대문 옷장수처럼 목청껏 외쳤다.
남편은 평소에는 말수도 적고, 말주변도 없는 편이었다. 그런 남편이 나를 깜짝 놀라게 만드는 경우가 두 가지 있었는데, 낚시와 관련해서 유창한 언변을 아낌없이 쏟아낼 때가 그랬고, 그 난전 같은 곳에 서서 불특정다수를 향해 호객행위를 할 때가 그랬다. 그 소리와 광경에 이끌려 들어오는 손님이 있는가 하면, 호객행위에 절대 넘어가지 않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뿜어내는 자세로 휙휙 지나가는 사람도 많았다.
나는 그 옆에 같이 서 있는 것조차 어색하고 민망해 멀찍이 떨어져 있었다. 그저 들어오는 손님이나 맞았다. 그리고 그런 남편의 뒷모습을 보면서 울컥울컥 눈물을 훔치곤 했다. 때때로 그런 슬픈 감정은 짜증이 되기도 했고, 화가 되기도 했다. '이게 뭐하는 짓이지?'라는 생각에 아무 의욕도 없이 하루를 맞고 하루를 보내기도 했다. 짜장에 빼앗겨 버린 신혼이 억울해 미칠 지경이었지만, 판을 벌여놓은 이상 결판을 내는 수밖에 도리가 없었다.
짜장면집을 시작한 지 한 달이 지날 무렵, 아이가 생겼다. 계획에 없던 일이었다. 내 나이도 만만찮았고, 남편의 나이를 생각하면 아이를 빨리 가져야 했지만, 나는 마라도에선 절대 그러고 싶지 않았다. 그 절해고도에서 임신 기간을 보내고 아이를 낳고 기른다는 건 끔찍한 일로 다가왔다. 이것은 기우가 아니었다. 아이가 태어난 그날, 내가 끔찍이도 염려했던 일이 실제 일어났으니까 말이다.
아무튼 나는 얼른 시간이 지나 평택으로 돌아가서 편안하고 안락하고 느긋하게 엄마가 될 준비를 하고 싶었다. 그래서 피임을 열심히 했건만, 어디서 탈이 났는지 모를 일이었다. 그렇게 아이는 거부할 수 없는 운명으로 우리에게 왔다. 처음 얼마간은 그 생경한 상황을 받아들이는 일이 쉽지 않았다. 섬 생활이 그랬던 것처럼 아이도 그저 막막했다.
그래도 내겐 결혼 전부터 언젠가 아이가 생기면 산부인과가 아니라 조산원에서 낳으리라는 생각이 있었다. 평택에서 이웃사촌으로 지내던 선배네가 세상에는 조산원이라는 곳도 있다는 것을 몸소 보여주었었다. 그 언니는 왜 조산원을 택했느냐고 묻자 "임신은 병이 아니잖아"라고 했다. 참으로 신선한 충격이었고, 더 이상 다른 말이 필요 없었다. 하지만 조산원은 전국적으로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적었다. 그에 관한 정보도 전혀 없던 터였는데, 인터넷을 검색하다 제주도에도 조산원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 귀한 조산사가 제주도에 있다는 것은 나와 내 아이에겐 정말 행운이었고, 하늘에 감사한 일이었다. 그분은 한국조산사협회 부회장인 김순선 원장이었다.
조산원은 아이만 낳는 곳이 아니라 임신 기간 내내 돌봄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조산사는 뱃속의 아이도 보고, 산모의 상태까지도 살뜰히 챙겨준다. 친정과 멀리 떨어져 있던 나는 김순선 원장님의 말 한 마디에도 눈물이 그렁해지곤 했었다. 엄마가 건강하면 아이는 저절로 건강해진다며 늘 산모의 상태에 더 관심을 두었다. 또한 조산사는 초음파의 달인이다. 첫째 때도, 둘째 때도 김순선 원장님의 흑백 초음파를 통해 아이를 만났는데, 그 사이에 수십 년 써오던 낡은 초음파 기계를 새 것으로 교체를 했는데도 내 눈에는 똑같아 보이는 흑백 초음파일 뿐이었다.
그럼에도 원장님이 그것을 고집하는 이유는 첫째는 최신 유행의 입체 초음파가 태아에게 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란다. 둘째는 우리 눈에는 하얀 건 양수요, 까만 건 태아로 보일 뿐인 흑백 초음파만으로도 조산사는 모든 정보를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태아의 상태는 물론이고 양수가 깨끗한지 탁한지, 양수의 양이 적은지 많은지도 안다. 이런 경지에 오르려면 당연히 오랜 경험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데, 김순선 원장은 8년 전 그때까지 받은 아이가 5000명이 넘었으니, 지금은 6000명쯤 되지 않을까 싶다. 그렇게 내 막막하고 고단한 마라도 생활을 어느 정도 행복하게 바꿔 놓았던 것은 아이와 조산원이었다.
그리고 <자연주의 출산>이라는 책 한 권이 내 엄마 되기 공부의 전부였다. 그 책은 한국조산사협회 회장이 펴낸 것이었다. 임신은 자연이고, 출산도 자연이다. 병원에 의존하지 않고, 아이와 산모 스스로를 믿으며 임신 기간을 보내고, 아이와 산모와 조산사가 하나의 호흡으로 연결되어 자연스럽게 출산하는 과정, 이것을 자연주의 출산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그렇게 자연주의를 알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이 임신과 출산에 관여된 자연주의가 식생활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니까 우리의 짜장면이 자연주의로 바뀌게 된 것은 바로 첫 아이 때문이었다. 물 한 모금도 LTE급 속도로 태아에 영향을 끼친다는데, 산모가 먹거리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은 당연지사다. 그 전까지는 식생활이 그저 그랬다. 라면도 곧잘 먹었고, 외식을 할 때도 가리는 게 없었다. 다만 우리끼리 먹는 집밥에는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았고, 남편이 민박 손님들에게 밥을 차려 줄 때도 마찬가지였다. 막연히 MSG가 몸에 이롭지는 않다는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었다.
그래서 짜장면에도 화학조미료를 넣었었고, 그게 문제라는 인식은 전혀 없었다. 그러다 첫 아이로 인해 화학조미료를 빼보기로 했다. 물론 처음엔 그 짜장면을 임산부인 나도 먹어야 하기 때문에 순전히 내 아이를 위해서 내린 결정이었다. 그런데 어라? 맛있었다. 짜장 소스 40인분 분량에 티스푼 반 정도밖에 안 되는 소량만 넣었던 탓인지 화학조미료를 빼버려도 맛은 별 차이가 없었다. 어쩌면 시판되는 검은색 춘장에 이미 MSG가 포함되어 있었기에 그랬을지도 모른다. 거기에다 박스째 부어 끓여내는 멸치육수에 자연산 MSG가 충분했으니, 화학조미료의 유무는 맛에 별 영향을 못 미쳤던 것 같다.
내 아이를 위해 그렇게 시작한 'No MSG 짜장면'이 지금의 자연주의 짜장면의 시초이다. 먹거리 공부를 조금씩 하면서 우리는 우리 삶을 둘러싼 진짜 비극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고, 남을 먹이는 일이 얼마나 조심스러운 것인지 깨닫게 되었다. 그것도 돈을 받고 먹이는 일이다. 돈까지 받고 먹이는 일인데, 그것이 건강을 해치는 것이라면 도리가 아니지 않는가,라는 화두가 우리를 따라다니기 시작했다. 물론 그것을 완성하기까지는 5, 6년의 세월이 더 흘러야 했고, 마라도에서의 고군분투 생존기는 이제 겨우 시작이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
공유하기
과묵한 남편의 호객행위, 그 뒷모습에 울컥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