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 국제원전 전문가 숀 버니씨가 11일 오전 부산항에 정박하고 있는 환경감시선 레이보우 워리어 3호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윤성효
그는 "이전에는 OECD 국가에서 원전이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런 예측은 빗나갔고 증가하지 않았다"며 "세계에너지기구는 한국을 특별히 언급하고 있다. 한국을 제외하면 OECD 국가의 원전이 약간 증가하는 게 아니라 감소다. 이는 전체 OECD 국가들이 원전을 감소시키고 있는지 말해준다"고 소개했다.
이어 "원전 감소 이유는 경제성 없이 비싸졌다는 것이고,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가능한 에너지가 또 하나의 원인"이라며 "중국이 엄청나게 경제 성장하고 있는데, 중국은 원전보다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한 전력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해 중국, 일본, 스페인, 스웨덴, 인도는 원전보다 풍력 에너지를 더 많이 생산한 국가다. 재생에너지를 더 많이 사용하는 국가의 인구수를 보면 30억 명이다"라며 "독일은 2014년 원전 중단을 선언했는데, 독일의 탈핵이 번복될 가능성은 없다"고 소개했다.
이어 "독일은 1960~1970년대 원전을 시작했고 다른 나라에 원전을 수출할 수 있다는 정책을 폈다. 그런데 지금은 보수진보를 떠나 시민들이 원전으로는 미래가 없다고 생각하는 게 공통된 시각"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상황에 대해서는 매우 걱정했다. 숀 버니 전문가는 "원전부지에 다수가 가동되면 위험하다. 다수 원전 부지에서 사고가 날 확률이 높고, 방사능 유출이 되면 수습이 어려워진다"며 "사고시 원전 내 수습보다 바깥 인근에 대한 대응이 훨씬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그린피스는 1999년 후쿠시마 원전 앞 바다에서 캠페인을 벌였다, 그 때 일본 정부는 원전 사고는 없다고 했다"며 "그런데 2011년 3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인구 16~17만 명이 피난 피해를 입었고, 4년이 지난 지금도 10만 명 이상이 피난 상태다"고 말했다.
그는 "2015년 기준으로 후쿠시마 사고 이후 지출피해비용은 100조가 넘고, 그 피해비용은 앞으로 수십년 동안 계속 발생할 것"이라며 "최근 지난 6, 7월 사이 모니터링 결과 여전히 방사능이 감소되지 않았고, 방사능 오염 제거 작업의 효과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세계에 후쿠시마사고의 피해로부터 회복이 되었다는 메시지를 계속 던지고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며 "후쿠시마 사고 이후 흥미로운 일은, 당시 간 나오토 수상이 이전에는 원전에 찬성했다가 지금은 탈핵 전문가로 바뀌었다는 것"이라며 "간 나오토 수상은 일본 에너지위원회로부터 보고서를 받아보고서 입장 변화를 보였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 에너지위원회는 당시 가동 중이던 원전에서 핵연료봉이 녹아내리는 상황을 막을 수 없고, 핵연료 저장소까지 문제가 발생된다고 예측했던 것"이라며 "당시 원전에서 최소 170~250km 지역을 대피구역으로 예측했다"고 덧붙였다.
숀 버니 전문가는 "부산은 고리원전에서 30km 거리다. 후쿠시마 사례를 감안해 170~250km를 가정하면 광범위한 지역이다. 그야말로 재앙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한국은 고리원전을 포함해 4곳에서 6기 이상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는데, 매우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그는 "한국정부는 계속 원전 확대 정책을 펴고 있다. 세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모르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교훈도 없다"며 "이해를 못하거나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 것 같다. 한국 원전 정책은 미친 짓"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