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구미시, 낙동강 공동관리 시스템 마련하라"

대구와 구미지역 시민단체 낙동강 수질관리 대책 촉구 "노력 없이 싸움만"

등록 2016.03.15 18:05수정 2016.03.15 18:07
0
원고료로 응원
a

대구YMCA와 구미YMCA, 대구참여연대, 대구환경운동연합 등은 15일 오전 구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낙동강 수질관리시스템 마련을 촉구했다. ⓒ 조정훈


대구 취수원의 낙동강 상류 이전을 놓고 대구시와 구미시가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시민단체들이 취수원 문제 해결을 위한 낙동강 수질 공동관리 시스템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YMCA와 구미YMCA, 대구와 구미 참여연대, 대구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15일 오전 구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구미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유해물질 농도가 먹는물 수질기준을 일부 초과하고 있다"며 대구시와 구미시의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이들은 대구시의 협조로 5년치의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며 "분석이 마무리되지 않았지만 구미하수처리장 방류수에서 검출된 불소, 보론, 아연, 니켈, 몰리브덴을 비롯해 1,4다이옥신 등이 검출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 유해물질이 낙동강을 취수원으로 하는 매곡, 문산 정수장에서 검출되고 있어 구미하수처리장 방류수에서 검출되는 유해물질이 대구 시민들이 먹는 수돗물에도 잔존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대구시와 구미시가 취수원 오염의 원인 규명과 관리 대책은 제시하지 않고 취수원 이전 문제만 가지고 찬반 갈등만 일삼고 있다며 무책임하다고 비난했다. 구미시는 유해물질이 발견되었다면 관리책임을 인정하고 대구시민들에게 먼저 사과하고 대구시 또한 낙동강 수질관리 대책에 대해 먼저 내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강금수 대구참여연대 사무처장은 "구미시는 대구시민들에게 믿음을 주지 않고 낙동강을 제대로 관리하지도 않으면서 취수원 이전을 반대한다"며 "반대하려면 오염물질이 나오지 않도록 선제적 노력을 먼저 해야 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강 사무처장은 "대구시민이 먹는 물을 구미시가 관리하지 않는다면 구미시장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것"이라며 "대구시도 낙동강에 유람선만 띄울 게 아니라 수질관리에 함께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낙동강의 모든 물줄기가 식수원"이라며 "대구시나 구미시가 의지만 있다면 위험요소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데도 서로 책임만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구미시에 낙동강 취수원의 수질관리 실태와 각종 검사결과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공개할 것을 요구하고 구미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낙동강 유입 여부와 경로, 영향을 밝히기 위한 공동조사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어 구미시와 대구시가 유해물질 차단과 낙동강 수질을 공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을 강조하고 상시적이고 투명한 수질관리 및 개선책 수립 등에 필요한 책임과 비용 공동 부담을 요구했다. 이를 위해 양 지역 시민단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구시는 매곡취수원과 문산취수원을 낙동강 상류지역으로 이전하기 위해 구미시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구미시가 유량 감소와 수질악화, 농업용수 부족 등의 이유를 내세우고 있어 취수원이전 논의가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낙동강 #취수원 #유해물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렇게 어렵게 출제할 거면 영어 절대평가 왜 하나
  2. 2 궁지 몰린 윤 대통령, 개인 위해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나
  3. 3 동네 뒷산 올랐다가 "심봤다" 외친 사연
  4. 4 '파묘' 최민식 말이 현실로... 백두대간이 위험하다
  5. 5 헌재는 지금 5 대 4... 탄핵, 앞으로 더 만만치 않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