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총선 선거공보물들.
성낙선
수업시간 자투리 시간을 할애해 교과서 없이 '정치 교육'을 해보기로 했다. 아이들에게 우리 동네 후보자들의 약력과 정당별 공약의 내용을 들려주며, 미래의 유권자로서 후보자와 정당을 선택하도록 했다. 사실 버려진 선거공보 책자를 한 부 가져와 적혀 있는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 편집한 것일 뿐인데, 아이들은 제법 흥미로워했다. 선거에 매번 시큰둥하게 반응하는 부모님께 알려주어야겠다는 경우도 있었다.
선거철 자칫 오해를 사게 될까봐, 후보자와 정당의 이름은 지우고 제시한 대표 공약들을 정당 기호와 상관없이 뒤섞어 놓았다. 이번 선거에 참여한 21개 정당 중에 원내 정당 6곳과 꾸준히 활동을 하고 있는 원외 정당 몇 곳의 공약을 그러모았는데, 한 문장으로 된 제목만 뽑아도 A4 용지로 넉 장을 훌쩍 넘었다. 일찌감치 아이들은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는 법'이라며 키득거렸다.
"선생님, 더도 말고 이 공약들 중 1/3만 실현된다고 해도 대한민국은 남부럽지 않은 선진국이 될 것 같아요. 이렇듯 잘 아는 정치인들이 즐비한데, 우리는 왜 아직 이 모양일까요?"'공약(公約)'이 대개 '공약(空約)'으로 끝난다는 건 아이들도 모르지 않는다. '선거용 멘트'에 너무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며 '어른스럽게' 말하는 아이도 있었다. 우선, '공정사회를 구현하겠다'거나 '가계 부담을 낮추겠다'는 등의 공약은 하나마나한 이야기라며 조롱했고, '어르신 빈곤 제로 시대를 열겠다'거나 '한국형 복지국가를 만들겠다'는 등의 추상적이고 모호한 공약은 유권자들을 현혹하는 짓이라고 못박았다.
공약에 대한 총체적인 불신은 지금껏 해오던 대로 투표하는 '관행'을 공고히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럴 바에야 "공약 같은 건 읽어볼 필요가 없지 않냐"며, 학교생활기록부나 논문 표절을 감식하는 프로그램을 선거철 공약집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독창적인 의견도 냈다. 언론 등이 각 정당별 공약을 알기 쉽도록 요점 정리해주고, 선거 후에는 공약의 이행 정도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해주어야 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전혀 내색하지 않았는데도, 아이들은 어떤 게 몸집 큰 다수당의 공약이고 어떤 게 소수당의 것인지 귀신같이 알아냈다. '부자 몸조심'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특히 집권당일수록 두루뭉술한 공약으로 논쟁과 분란을 피하고자 할 것이라는 나름 설득력 있는 분석까지 덧붙였다. 여야가 뒤바뀌는 경우는 있었어도, 다수당과 소수당의 공약을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는 없었다.
아이들 마음 사로잡은 건 소수정당 아이들은 대체로 소수당이 제시한 공약들을 선호했다. 추상적이지 않은 '깨알 공약'에 후한 점수를 준 셈인데, 학습노동에 찌들어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게 우선이었지만 '농민 수당'이나 '탈핵', '동물권 보장'처럼 다소 의외의 것들도 눈에 띄었다. 물론, 소수당의 공약이라는 걸 이미 알고 있다는 듯, 아이들의 선택에는 '불가능하겠지만'이라는 전제 조건이 줄곧 따라 붙었다.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건, 예상대로, '사교육 전면 금지'였다. 여야 모두 대표 공약으로 내놓은 '사교육비 대폭 경감'은 부모님들의 지지는 얻을지 몰라도 자신들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최소 12년간의 학창 시절 동안 1년 365일 학교와 학원, 독서실을 전전해야 하는 아이들에게는 체념 섞인 바람일지라도 절박한 문제다. '사교육 전면 금지'에다 '야간자율학습 금지'만 더해진다면, 적어도 지금 고등학생 아이들에게 몰표는 떼어 놓은 당상이 될 것이다.
'최저 시급 1만 원'과 '매월 기본소득 지급' 공약도 주목을 받았다. 주말이나 방학 중 '알바'가 이미 익숙한 일상이 된 아이들에게 임금과 소득의 문제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모든 국민에 매월 30만 원을 지급한다는 내용이 지금은 비록 허황된 것일지라도, 충분히 고민해볼 만한 사안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동의했다. 많은 아이들이 '등록금 백만 원 상한제' 공약에도 큰 관심을 보인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런가 하면 '청년 국회의원 할당제'와 '선거권 18세 인하'를 최고의 공약으로 꼽은 아이도 있었다. 다른 공약들은 적어도 자신들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사뭇 시혜적인 내용이라 효과도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교육청에서 시행 중인 '학생인권조례'를 예로 들면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요구하고 주체적으로 참여해 만든 규정이 아니면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힘을 발휘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강조했다.
아이들 말마따나 제목만 A4 용지 넉 장에 가득한 공약들 중 10대 아이들과 관련된 건 사실상 전무하다. 이번 한 시간짜리 '정치 교육' 나름의 수확이라면 이것이다. 한 아이의 표현을 그대로 빌리자면, "선거권이 없는 이들에겐 국물도 없다"는 걸 아이들에게 확실히 인식시켜주었다는 점이다. 한 아이는 수업을 총평하듯 심드렁하게 말을 이었다. 선거와 공약에 대한 아이들의 냉소는 여전히 굳건했다.
"학생으로서 우리들의 삶을 사실상 좌지우지하는 교육감조차 제 손으로 뽑지 못하는 판에, 국회의원 선거는 무슨 얼어 죽을…"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3
잠시 미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내 꿈은 두 발로 세계일주를 하는 것이다.
'좋은 사람'이 '좋은 기자'가 된다고 믿습니다. 오마이뉴스 정치부에디터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