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증 발급 신청 못하는 1천여 청소년시설

청소년증 제도 위기인데 전국 1천여 청소년시설, 발급 신청 업무 안 봐

등록 2016.05.01 12:12수정 2016.05.01 12:12
1
원고료로 응원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이나 학교를 다니는 청소년이나 모두 본인의 신분을 증명하고 다양한 혜택을 수혜받도록 한다는 취지로 지난 2004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청소년증이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는데도 청소년들의 전용공간이자 학교밖 청소년들의 최일선 기관인 787개소 청소년수련시설 및 202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서는 청소년증 발급 신청 업무를 하지 않고 있다. 

학생과 비학생 구분 없이 만 9∼18세 청소년들에게 경제적 혜택과 생활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청소년복지지원법에 따라 발급하고 있는 이 청소년증은, 교통비와 각종 문화 및 편의시설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아울러 2015년부터는 거주지 주민센터에서만 신청할 수 있었던 것을 가까운 시,군,구청 및 주민자치센터에서도 신청이 가능하도록 해 편의성을 높였다.

하지만 전국 청소년 653만9천여 명 중 2011년 청소년증 발급 건수 4만908건, 2012년 4만3,875건, 2013년 4만9,452건, 2014년 5만663건으로 청소년증 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음에도 있으나마나한 제도로 전락하고 있음을 극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국 일천여곳에 달하는 청소년 관련 시설 및 기관에서는 전혀 청소년증 신청을 할 수 없다.

전국 청소년시설 현황 ⓒ 여성가족부


전국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현황 ⓒ 여성가족부


현재 청소년증 발급 신청은 시,군,구청 및 주민자치센터에서만 할 수 있고 신청서 1매와 사진 1장을 제출해야 한다. 이 신청서에 기재된 개인정보를 '행복e음시스템'에 입력해야 하는데 이 시스템 접근 권한이 공무원들에게만 있기 때문이다.   

청소년시설이나 관련 기관은 주로 민간위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신분이 공무원이 아니기 때문에 청소년증 발급 신청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 정부(여성가족부)의 논리다. 하지만 공무원들도 신청서와 사진을 직접 오프라인에서 받아서 행복e음 시스템에 등록기 때문에 신청서 작성과 행복e음 시스템 접근과는 별개 문제다.  

청소년증 발급절차 ⓒ 여성가족부


청소년들이 수시로 이용하는 청소년시설과 학교밖 센터에서 청소년증을 편하고 쉽게 신청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하는 것은 정부 스스로 경직된 사고에 빠져 청소년증 활성화 기회를 스스로 박탈하는 것.

최소한 민간 청소년시설이 아닌 국공립, 시구립 공공 청소년시설에서는 청소년증 발급 신청 접수 업무가 가능하도록 청소년복지지원법 시행규칙이 개정되어야 한다. 아울러 청소년증이 아직도 '학교 안 다니는 아이들의 증명'이라는 사회적 낙인과 부정적 시선의 부담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고 대다수 청소년인 '학교 다니는 학생'이 학생증을 사용하면서 청소년증을 발급받고자 하는 욕구를 퇴색시키고 있는 등 근본적인 청소년증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정부가 원인 분석을 실시하는 등의 노력을 경주해 주길 촉구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위키트리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증 #여성가족부 #청소년수련시설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한국청소년정책연대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학부와 대학원에서 모두 NGO정책을 전공했다. 문화일보 대학생 기자로 활동했고 시민의신문에서 기자 교육을 받았다. 이후 한겨레 전문필진과 보도통신사 뉴스와이어의 전문칼럼위원등으로 필력을 펼쳤다. 지금은 오마이뉴스와 시민사회신문, 인터넷저널을 비롯, 각종 온오프라인 언론매체에서 NGO와 청소년분야 기사 및 칼럼을 주로 써오고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7년 만에 만났는데 "애를 봐주겠다"는 친구
  2. 2 아름답게 끝나지 못한 '우묵배미'에서 나눈 불륜
  3. 3 스타벅스에 텀블러 세척기? 이게 급한 게 아닙니다
  4. 4 '검사 탄핵' 막은 헌법재판소 결정, 분노 넘어 환멸
  5. 5 윤 대통령 최저 지지율... 조중동도 돌아서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