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 내년엔 여기서 퀴어문화축제 현장중계를

등록 2016.06.11 20:14수정 2016.06.11 20:14
4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 이훈희


내년엔 여기서 퀴어문화축제 현장중계를


성소수자에 대해 관심이 없던 필자는 지난해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퀴어문화축제에 갔었다. 축제가 열리기 몇 달 전부터 출석하는 교회 담임목사가 매주 '동성애에 반대'하는 설교를 해댔기 때문이다.

궁금했다. 왜 저 사람은 동성애를 그토록 죄악시하며 치를 떠는 것일까? 동성애자로 대표되는 성소수자는 저 목사가 말하는 것처럼 '괴물'이며 '사회악'일까? 성소수자들의 정체가 궁금했다.

문화축제에 도착한 나를 소란스럽게 환영하던 그룹은 일부 기독교 교인들이었다. 우리 교회 목사가 말하던 동성애자들이 괴물이 아니라 북치며 미친듯이 소리치는 교인들이 마치 괴물로 보였다.

퀴어문화축제 현장에서, 성소수자들을 차별하지 말고 똑같은 사람으로 대하는 것이 옳다고 이야기해주던 각국 대사관 직원들의 의견에 고개를 끄덕였다. 동성애가 왜 존재하는지, 그게 죄인지 아닌지 난 모르겠다. 하지만 그들도 나와 똑같은 사람이라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에도 퀴어문화축제에 참석하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했다. 저녁 시간 잠시 시간을 내서 반포 한강공원에 나와 바람을 쐬는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내년 퀴어 문화축제에선 저 전광판을 임대해서 퀴어문화축제 현장을 중계해주면 좋겠다.


그냥 잠시 휴식을 취하는 공원에서도 성소수자들이 잠깐 동안이라도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는 목소리가 울리는 것은 그리 이상한 일은 아닐테니까.

#반포한강공원 #퀴어문화축제 #성소수자 #동성애


▶ 해당 기사는 모바일 앱 모이(moi)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모이(moi)란? 일상의 이야기를 쉽게 기사화 할 수 있는 SNS 입니다.
더 많은 모이 보러가기
#모이 #동성애 #퀴어문화축제 #성소수저 #반포한강공원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라건대, 지치지 말기를. 제발 그러하기를. 모든 것이 유한하다면 무의미 또한 끝이 있을 터이니. -마르틴 발저, 호수와 바다 이야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4. 4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5. 5 한국의 당뇨병 입원율이 높은 이유...다른 나라와 이게 달랐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