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최상류 물고기 집단 폐사, 이유가 뭘까

석포제련소 하류 1년 1-2회 폐사, 군에선 농약 원인 추정

등록 2016.06.14 11:47수정 2016.06.14 11:47
0
원고료로 응원
물고기가 죽으면 사람은 살 수 있을까?

낙동강 최상류 발원지 황지연에서 불과 30여 킬로미터 하류인 경북 봉화군 소천면 양원역과 분천역 옆을 흐르는 낙동강에 물고기가 떼죽음 당했다.

a

죽은 물고기 양원역 인근 강에서 주민이 주워 온 죽은 물고기 ⓒ 김수동


a

죽은 물고기 비동마을 인근 ⓒ 김수동


a

죽은 물고기 비동마을 인근 ⓒ 김수동


이 지역에서 물고기 집단폐사는 1년에 한 두 차례씩 나타난다.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오염원도 특별한 게 없다. 깍아지른 절벽들 사이를 흐르는 강이다 보니 농토 또한 변변한 게 없다.

그렇다고 오폐수를 쏟아내는 공장도 없다. 다만 물고기 폐사가 일어나는 상류에는 납, 비소, 아연, 구리, 카드뮴 등의 중금속과 황산이 나오는 국내 최대 규모 아연제련소가 있을 뿐이다.

a

(주)영풍 봉화군 석포면 아연제련소 ⓒ 김수동


a

고사목 (주)영풍 아연제련소 주변 산의 고사목 ⓒ 김수동


강물이 흐름에 따라 쉴 새 없이 이상한 거품이 일어나고 강물이 쉬어가는 곳엔 거품띠가 만들어지고 있다.

a

거품띠 비동마을 인근 ⓒ 김수동


a

원인 모를 거품띠 분천역 위쪽 비동마을 인근 ⓒ 김수동


당시 만난 봉화군 관계자는 농약이 원인일 거라고 말했다.


이 많은 물에 물고기 집단폐사와 엄청난 거품이 만들어지려면 강에다 얼마나 많은 농약을 들이부어야 할까?

분천역은 협곡열차를 운행하여 전국에서 많은 관광객이 이 곳을 찾는다.

눈에 보이는 경치와 달리 물고기조차 살 수 없는 강물이 이곳을 흐르고 있다면 과연 이 곳을 찾는 관광객들은 어떤 생각이 들까?

a

낙동정맥을 알리는 이정표 비동마을 인근 ⓒ 김수동


a

분천역 협곡열차가 시작되는 곳 ⓒ 김수동


1300만명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낙동강 물고기의 집단폐사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 1300만명 국민의 생명과 건강, 수생물의 목숨이 걸린 문제기 때문에 빨리 바라잡아야 한다.
#죽음의 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3. 3 이성계가 심었다는 나무, 어머어마하구나
  4. 4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5. 5 7년 만에 만났는데 "애를 봐주겠다"는 친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