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백지화' '김해공항 확장'에 여전히 시끄러워

[경남] 홍준표 입장 없어, 밀양시장 '시민 우롱' ... 김해시의원 '소음 피해 우려'

등록 2016.06.21 17:44수정 2016.06.21 18:31
4
원고료로 응원
정부가 영남권(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와 김해공항 확장 방침을 밝혔지만, 지역은 여전히 시끄럽다. 박일호 밀양시장은 사과했고, 김해에서는 소음 피해 확대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연구용역을 해온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는 21일 오후 신공항 입지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경남 밀양(하남평야)과 부산 가덕도가 신공항 후보지로 경쟁했는데, 정부는 신공항을 새로 짓지 않고 김해공항을 확장하기로 한 것이다.

홍준표 지사 "정부 발표 수용할 수밖에 없다"

그동안 경남은 지역에 따라 입장이 달랐다. 홍준표 지사는 신공항이 밀양에 들어서야 한다고 그동안 줄기차게 주장해 왔다. 김해시의회는 밀양 신공항에 반대해 왔고, 거제통영에서는 가덕도를 선호해 왔다.

홍준표 지사는 이날 정부 발표 뒤, 뒤늦게 입장을 발표했다. 이에 앞서 경남도청 공보실은 정부 발표가 있기 1시간여 전에 '밀양 신공항 부지'라는 제목으로 하남평야 일대의 항공사진을 언론사에 배포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 발표가 있은 뒤, 홍준표 경남지사는 "(정부 발표를)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경남도청 안팎에서는 신공항 후보지로 밀양이 선정될 것으로 보았다가, 정부 발표 이후 실망감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a

영남권 신공항 후보지인 밀양 하남평야 일대. ⓒ 경남도청


박일호 밀양시장 사과, "시민 우롱한 결정"


박일호 밀양시장은 사과했다. 박 시장과 간부 공무원들은 이날 오후 밀양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밀양 11만 시민들께 고개 숙여 사죄드립니다. 정부의 이번 결정은 또 한번 밀양시민을 우롱한 결정입니다"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밀양이 두 번에 걸쳐 영남권 신공항 후보지로 거론되면서 시민들은 지치고 땅값만 올려놨다"며 "이번 결정으로 개발 가능성이 소멸돼 밀양 시민들은 절망의 수렁에 빠지게 됐다"고 한탄했다.


그는 "앞으로 11만 밀양 시민들의 미래를 위한 대책을 강구해 나가겠다"며 "신공항 추진에 대해선 고민을 거쳐 어떻게 대응할지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김해공항 확장에 소음 피해 우려

김해공항 확장에 소음 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밀양 신공항 반대 결의안을 냈던 김해시의회는 이번 정부 결정과 관련해 아직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형수 김해시의원은 전화통화에서 일단 "정부가 밀양을 신공항 후보지로 결정하지 않은 것에 대해 김해시민의 입장에서 다행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해공항을 확장하겠다고 하는데, 그렇게 되면 운항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심야시간에도 항공기 운항을 하게 된다면 소음 피해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 의원은 "김해공항 확장의 구체적인 내용이 발표되지 않아 알 수 없지만, 소음 피해를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 하고, 그것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전 정의당 영남 5개 시도당과 녹색당은 기자회견과 논평을 통해, 영남권 신공항에 반대하며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기도 했다.

<한남일보> '밀양 확정' 보도했다가 사과

a

<한남일보>가 21일 영남권 신공항이 밀양으로 결정되었다고 보도(위)했다가 오보가 되면서 사과문(아래)을 냈다. ⓒ 자료사진


한 언론사가 '동남권 신공항 입지, 밀양시 확정'이란 제목으로 보도했다가 오보로 결론이 나면서 사과문을 올렸다. <한남일보>는 이날 오전 "동남권 신공항입지 '밀양시 확정'"이란 제목으로 보도했다.

이날 오후 <한남일보>는 '정정보도문과 사과문'을 통해 "밀양지역 취재기자의 잘못된 취재로 기사가 보도돼 오해를 불러일으킨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동남권 신공항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2. 2 [단독] 순방 성과라는 우즈벡 고속철, 이미 8개월 전 구매 결정
  3. 3 해외로 가는 제조업체들... 세계적 한국기업의 뼈아픈 지적
  4. 4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5. 5 "모든 권력이 김건희로부터? 엉망진창 대한민국 바로잡을 것"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