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딩 문 앞에 있는 '우산 비닐', 꼭 사용해야 할까?

등록 2016.09.02 17:42수정 2016.09.02 17:42
0
원고료로 응원
a

ⓒ 계대욱


a

ⓒ 계대욱


a

ⓒ 계대욱


a

ⓒ 계대욱


a

ⓒ 계대욱


"비가 오면 생각나는 우산 비닐
언제나 말이 없던 우산 비닐"

심수봉의 '그때 그 사람' 노랫말을 살짝 바꿔서 불러봅니다. 빗속을 지나 건물 앞에 다다르면 어김없이 우산 비닐 거치대를 마주하게 됩니다. 예전엔 우산꽂이가 있었는데 언젠가부터 우산 비닐이 그 자리를 차지했지요. 바닥에 빗물이 안 떨어지니 편리하고 좋기만 한 걸까요?

1번 쓰고 버려지는 우산 비닐이 1년에 1억 장 정도 됩니다. 자원순환사회연대의 조사에 따르면 90% 이상이 분리 배출되지 않고 그냥 버려진다고 합니다. 땅 속에서 썩는데 최소 50년 이상 걸리고, 태우면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 성분이 배출되기도 합니다.

이 사실을 알고부터 우산 비닐 사용하기가 망설여집니다. 대신 탁탁탁, 빗물을 털고 들어갑니다. 우리 모두의 문제이지만, 아무도 나의 문제라고는 여기지 않는 것들. 환경 문제가 그런 거 같습니다.

여러분은 오늘 몇 장의 우산 비닐을 사용하셨나요?
비 오는 날, 우산 비닐 대신 우산 털기! 탁탁탁, 어떠세요?

▶ 해당 기사는 모바일 앱 모이(moi)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모이(moi)란? 일상의 이야기를 쉽게 기사화 할 수 있는 SNS 입니다.
더 많은 모이 보러가기
#모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왼쪽 손바닥을 펴보세요. 사람의 손금엔 '시'라고 쓰여 있어요.

이 기자의 최신기사 [만평] 출구전략 없는...?

AD

AD

AD

인기기사

  1. 1 자식 '신불자' 만드는 부모들... "집 나올 때 인감과 통장 챙겼다"
  2. 2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3. 3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