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SNS 움직임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OOO_내_성폭력' 운동이다. 몇몇 피해자의 폭로를 시작으로 들불처럼 퍼진 이 운동은 은폐되었던 각 분야의 성폭력들을 들춰냈다.
PIXABAY
올해 SNS에서 일었던 움직임들 중 주목할 만한 것들을 뽑으라고 한다면, 아마 '#OOO_내_성폭력' 운동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몇몇 피해자의 폭로를 시작으로 들불처럼 퍼진 이 운동은 은폐되었던 각 분야의 성폭력들을 들춰냈다. 그리고 일부 가해자들은 가해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문을 올리거나 예정되어 있던 작업 활동을 멈추기도 했다.
나는 이러한 상황이 제한적이나마 한국 사회에 중대한 메시지를 던졌다고 생각한다. 더 이상 성폭력은 '개인적인 실수'나 '해프닝'이 아니게 되었다. 이 일은 가해자의 커리어를 중단시키면서 책임을 물어야 할 심각한 '범죄'나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게 되었다. 더 이상 '그 바닥은 원래 그래'라는 식으로, 한 분야 안에서의 성적인 폭력이 당연하거나 사소한 일이 아니게 된 것이다.
그러나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지지했던 이 움직임을 모든 사람들이 달가워한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이 현상을 다룬 시사 프로그램에 출연한 한 미술평론가는, 이 운동으로 말미암아 형성된 공포 분위기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인터뷰에 분노하자 그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방송으로 나간 것은 인터뷰의 전체 부분이 아니며, 자신이 비판코자 한 것은 '무차별 폭로로 무고한 사람이 가해자로 둔갑하는 현실과 가해자에게 소명의 기회도 없이 명단부터 공개하는 현실'이라는 해명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해명을 수긍한다고 해도 아무런 의문이 생기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한 번도 존재한 적 없던 그 공포 분위기우선 그가 말한 '공포 분위기'에 관한 것이다. 그는 '무차별한 폭로로 무고한 사람이 가해자'가 되는 것이 그 분위기의 핵심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나는 질문하고 싶다. 지금까지의 한국 사회가 그런 일들이 가능한 공간이었나?
가령 한동안 떠들썩 했던 유명 연예인의 성폭력 사건을 살펴보자. 사람들이 피해호소인이 자신의 피해 사실을 드러냈을 때, 그 말만 믿고 해당 연예인을 가해자라고 생각했었는가. 되려 피해자를 돈을 갈취할 목적으로 거짓된 폭로를 한, 소위 '꽃뱀'이라고 손쉽게 생각하지 않았는가. 혹은 그 사람이 사적인 복수심으로 한 사람의 인생을 망가뜨리기 위해 그런 행동을 했다고 넘겨 짚지 않았는가. 이외에도 내가 들었던 기상천외한 추측들은 무궁무진하게 많다.
즉 그 평론가가 말한 '공포 분위기'라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한 번도 존재한 적이 없다. 이미 너무나도 잘 알려져있듯, 피해자가 자신이 성폭력을 당했음을 주변에 알리거나 수사기관에 신고하는 순간부터, 그 사람은 믿음과 지지가 아니라 끝도 없는 의심을 마주하게 된다.
피해 사실을 너무 명료하게 말해도(피해자가 저렇게 명확하고 담담하게 자기 경험을 말 할리가 없다) 거꾸로 증언이 불명료하거나 번복이 되어도(그렇게 충격적인 일인데 제대로 기억을 못할 리가 없다) 의심을 받는다. 또한 '피해자라면 이런 모습을 보일 리가 없다'는 편견 아래에 피해 전후의 모든 행동은 시험대에 오르게 된다. 여기에 지쳐 재판 과정을 포기하면 돌아오는 것은 '꽃뱀'이라는 낙인과 무고죄로 고소되는 것 뿐이다.
그러는 사이, 특히나 이번 폭로의 주된 대상이 된 사람들처럼 사회적 자원과 명망을 갖춘 이들은 가해 사실을 부인하고 피해자를 압박한다. 그리고 그들의 발언이 더 큰 힘을 가진다는 것은 사실 인터뷰를 한 평론가도 너무나 잘 보여주었다.
그는 자신이 편집된 부분이라고 첨부한 인터뷰에서, 가해지목인의 해명서를 보았더니 성희롱이 아니라 불행한 연애의 파탄에 가까운 사연들이었다고 말했다. 나는 묻고싶다. 대체 무엇을 근거로 그 해명서가 사실이리라 철썩같이 믿는가. 그는 소명을 통해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지만, 이미 그 조차도 그 해명문을 사실로 전제하고 있지 않는가.
폭로가 불가피해진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