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3개월 지난 ‘주한미군 철수 훈련’ 뒤늦게 띄운 MBC(1/9)
민주언론시민연합
이처럼 '한반도 유사시에 대비한 주한미군의 민간인 대피훈련' 장면을 강조한 보도는 이날 MBC에서만 나왔습니다. 그러나 MBC 보도는 KBS와 결이 다른 또 다른 '공안몰이'일 뿐입니다. MBC는 주한미군의 민간인 대피 훈련이 2010년 이후 처음 실시됐고 이를 미국 방송들도 긴급 타전했다는 이유로 '한반도 불안'을 현실화했습니다. 그러나 MBC 보도는 기본적인 사실조차 제대로 전하지 않았습니다. 일단 주한미군의 '민간인 대피 훈련'은 무려 지난해 10월이나 11월 사이에 이뤄진 것이고 MBC가 큰일이라도 난 것처럼 전한 '미국 방송의 보도'조차 훈련의 정확한 시기를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MBC는 지난해 10월에 있었던 훈련이 마치 8일 나온 북한의 'ICBM 위협'에 대한 대응인 것처럼 왜곡한 것입니다. 또한 미국 CNN은 지난 해 훈련을 1월 4일에 보도했고 MBC는 1월 4일 보도로부터 5일이 지난 9일이 되어서야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한 겁니다. CNN이 지난 해 훈련을 1월 4일이 되어서야 보도한 사실에 대해서도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둔 연초에 여론몰이용으로 기획한 미군의 훈련에 CNN이 호응을 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MBC는 이걸 또 5일이 지나서야 '한국 여론몰이'용으로, 그것도 '한반도 안보위기'를 과장하는데 이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공영방송 빼고 모두 '소극적인 정부' 비판이렇게 KBS와 MBC는 '공안몰이' 보도를 한일 위안부 소녀상 갈등 바로 다음에 이어 붙여 소녀상 갈등의 역사적 의의와 한일 양국 정부의 무책임한 야합이라는 본질을 흐렸습니다. 타사는 다릅니다. KBS와 MBC처럼 '공안몰이' 보도를 내지도 않았고 소녀상 갈등 보도에서는 모두 한 마디씩이라도 우리 정부의 소극적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가장 적극적으로 우리 정부를 비판한 것은 SBS와 JTBC입니다. SBS <일로 떠난 일대사…정부는 무대응>(1/9 http://bit.ly/2iX1gmt)은 "외교부는 지금 현재 논란이 잦아들기만을 기다리고 있"고 "위안부 합의에 대한 압도적인 부정적 여론은 나 몰라라 하고 있"다면서 "일본에서 진정한 사죄와 반성을 의심케 하는 발언을 할 때는 정확하게 지적해줘야" 한다고 충고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그냥 기존의 입장만 고수하고 있어서 제대로 대응을 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는 우려도 덧붙였습니다.
JTBC <아베 큰소리에도 미온적인 정부…왜?>(1/9 http://bit.ly/2iyC6d7)는 지난해 12월 28일 위안부 합의문이 발표되자마자 일본에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을 철거해야"(산케이, 12/29)와 같은 보도가 쏟아져 의구심이 증폭됐지만 "우리 정부의 대응은 언론플레이로 간주하는 미온적인 대응만 했"다고 짚었습니다. 이런 태도 때문에 "합의 과정에 대해 의혹이 제기되고 이면합의설이 계속 제기되고 있는 것"이라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이어서 "위안부 문제의 핵심은 피해자에 대한 강제 연행 여부"라면서 "아무리 내용을 들여다봐도 강제성 여부가 분명히 명시돼 있지 않"은 한일 위안부 합의의 근본적인 맹점을 비판했습니다. 이를 '일본의 강제성 지우기 작업'으로 규정했고 "추가적인 외교적 조치는 없"는 우리 정부의 무책임도 언급했습니다.
TV조선과 MBN은 SBS‧JTBC처럼 적극적인 비판과 분석을 보여주진 않았지만 "소녀상 문제를 둘러싼 일본의 공습 속에서 우리 외교부는 뾰족한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TV조선), "우리 정부는 국민 감정을 예의주시하며 적극 대응을 피한 채 오늘도 합의를 성실히 이행하자는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MBN)와 같이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를 내놓기는 했습니다. 이는 오히려 정부를 두둔한 KBS나 아예 우리 정부 대응을 언급하지 않은 MBC와 대조적입니다.
5. 박근혜 정부가 버린 '세월호'…1000일의 의미 JTBC만 되새겼다국정파탄 사태 이후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이 상황 파악도 못한 채 관저에만 머물렀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미용시술을 받았다는 의혹까지 나오면서 희생자 가족은 물론, 온 국민이 분노와 슬픔에 잠겨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세월호 1000일을 맞이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방송사들은 지금까지 그랬듯, 또 세월호를 외면했습니다. KBS‧SBS‧MBN 2건, MBC‧TV조선‧채널A는 고작 1건에서 세월호 1000일을 다뤘습니다. 그나마 희생자 가족 인터뷰를 1건 덧붙인 SBS와 MBN은 '성의'를 보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MBC‧TV조선‧채널A는 추모행사만 1건 보도했고 KBS는 추모행사 1건에 나머지 1건에서 정부의 세월호 인양 계획을 받아쓰기만 했습니다.
특히 KBS‧MBC‧TV조선‧채널A‧MBN은 보도 배치 순서가 모두 20번째 내외로서 뉴스 후반부가 되어서야 세월호 1000일을 보도했습니다. 애초에 세월호 1000일을 작은 비중으로 다루고자 한 것입니다. 그나마 SBS가 8번째로 비교적 앞선 순서에 보도했습니다.
방송사들 중 세월호 참사 1000일의 사회적 의미를 제대로 보도한 것은 JTBC뿐입니다. JTBC는 톱보도부터 총 7건의 보도로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방해했던 정부와 새누리당의 '오욕의 역사'를 되짚었습니다. 세월호 참사 당시 대통령의 직무유기를 은폐하려 한 청와대 '꼼수'도 단독 보도했습니다.
6. "분당했지만 새누리당은 세월호 진상규명을 막았다", JTBC의 일침 특히 주목할 보도는 정부와 새누리당의 책임을 집중 보도한 JTBC <특조위 앞에 있던 '장애물'>(1/9 http://bit.ly/2j2epgF)입니다. 손석희 앵커는 "그동안 세월호 진상 규명을 위해 특별조사위원회가 출범해 활동했지만 청와대와 정부, 여당 추천 조사위원들의 행태는 진상 규명이 아니라 되레 진상규명을 방해했다는 비난을 자초하기에 충분"했다며 보도를 시작했습니다. 김태영 기자는 "여당은 세월호 특별법을 통과시키면서 특별조사위원회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제외"했고 "결국 특조위는 독립적긴 수사와 기소권 없이 반쪽 권한만 가진 채 진상규명에 나섰"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서 "여당 추천 위원들은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에 대해 얘기만 나오면 반발" "여당측 위원들의 줄사퇴" 등 '새누리당의 특조위 방해 공작'을 나열했고 "(여당측 위원들은) 해수부 작성 문건에 나와있는 대로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사퇴를 선언한 겁니다. 오더를 따른 것이고 명분도 없는 행동이었습니다"라는 권영빈 전 진상규명소위원장 인터뷰도 덧붙였습니다. 여기다 "제대로 된 진상규명이 불가능했던 상황에서 정부는 지난해 6월 특조위 활동 종료를 일방적으로 통보"했다며 정부의 무책임도 짚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