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로 나선 문재인 전 대표가 20일 오전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앞 5·18민주광장에서 광주전남 비전을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남소연
호남민심을 향한 문재인의 두 번째 도전은 성공할 수 있을까.
문재인 더불어민주당(아래 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호남 지역 경선을 일주일 앞둔 20일 광주를 찾아 '광주·전남 정책'을 발표했다. 문 후보는 22~24일에도 호남에 머물며 지지를 호소할 예정이다.
4.13총선을 닷새 앞둔 지난해 4월 8일, 문 후보는 그때도 광주를 찾았다. 당시 문 후보는 광주 충장로우체국과 전남대를 연이어 방문했고, 수많은 인파가 그를 둘러쌌다.
당시 사람들로 꽉 찬 사진을 보며 "반문 정서는 없다"는 기사가 쏟아졌고, 문 후보는 "호남에서 저에 대한 지지를 거두시겠다면 대선에 도전하지 않겠다"는 배수진도 쳤다. 하지만 총선 결과는 참패였다. 민주당이 호남에서 얻은 의석은 28석 중 3석에 불과했다.
문재인, 호남에서 과반 얻을 수 있을까문 후보가 쳤던 배수진은 두고두고 그를 곤란하게 만들었다. 문 후보는 이후 "호남의 지지를 받고 싶은 간절한 마음", "전략적 판단" 등의 해명을 내놨지만, 명쾌한 답이 되진 못했다.
하지만 민주당의 대체제로 선택했던 국민의당도 호남민심을 얻지 못한 건 마찬가지였다. 여전히 호남의 상수는 민주당이었고, 변수의 바람을 이어가지 못한 국민의당은 변수가 가진 한계에 부딪혔다(관련기사 :
문재인으론 불안하다? 호남 '비문정서' 실체는...). 그러면서 민주당과 문 후보의 지지세도 점차 회복돼, 국민의당과 안철수 의원을 넘어섰다.
문 후보는 이제 두 번째 도전 앞에 섰다. 27일 광주에서 진행되는 호남 순회 경선이 그 시험대다(22일 전국현장투표, 25~26일 호남 ARS 투표, 27일 호남 순회 경선). 그가 총선 이후 호남민심을 놓고 벌이는 첫 대결이기도 하다.
정치권에선 문 후보 승리의 척도를 과반으로 꼽고 있다. 그가 호남에서 과반을 얻어야 상대를 압도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고, 호남에서의 반문(혹은 비문) 정서를 '계량화된 수치'로 잠재울 수 있기 때문이다(물론 경선을 통과하더라도 본선이 남아 있다).
다음 경선 지역이 충청임을 고려해볼 때, 문 후보 입장에선 안희정 변수를 억누르는 효과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날 문 후보와 함께 광주를 찾은 김경수 대변인은 <오마이뉴스>와 만나 "당연히 (호남 경선에서) 과반을 넘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며 "최선을 다해 호남에서 많은 표를 얻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경선을 빨리 끝내야 본선 선거운동 기간을 며칠이라도 확보할 수 있다"라며 "가능한 (결선투표를 가지 않고) 1차에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이날 문 후보의 행보는 지난 총선과 비슷했다. 옛 전남도청 앞 5.18민주광장에서 '광주·전남 공약'을 발표한 문 후보는 이어 전남대를 찾아 학생들을 만났다. 다만, 인파에 둘러싸여 세를 과시하는 모양새는 아니었다.
이날 전남대에서 만난 백성규(27, 전남대 학생)씨는 "(문 후보가) 총선 이후 꾸준히 세를 쌓아왔고, 특히 젊은 층에선 상당히 지지세를 얻고 있는 것 같다"라며 "민주당을 지지하는데, 세 후보를 놓고 고민 중이다.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누가 높을지 생각해보고 있다"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문 후보가 이날 발표한 대표 공약은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것을 필두로 한 5.18 관련 공약이었다. 이외에도 ▲ 옛 교도소 부지에 민주·인권·평화복합공간 조성 ▲ '임을 위한 행진곡' 5.18 공식 기념곡 지정 ▲ 국가 차원의 5.18진상규명위원회 구성(발포명령자, 헬기기총소사 책임자 처벌 등) ▲ 법 개정 통한 5.18 정신훼손 시도 엄벌(5.18 관련자료 폐기금지 특별법 제정 등) 등을 약속했다.
5.18 관련 공약 외에도 ▲ 광주·나주공동혁신도시, 에너지신산업 거점도시 육성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2.0시대 선언 ▲ 미래형 자동차 생산기지 및 부품단지 조성 ▲ 원도심 재상산업 본격 추진 ▲ 국립심혈관센터 설립 ▲ 첨단과학기술 융복합 미래형 농수산업 생산기지 조성 ▲ 서남해안 관광·휴양벨트 조성 ▲ 광양항 경쟁력 강화 위한 기반시설 확충 ▲ 무안공항, 서남권 거점공항으로 육성 ▲ 물가인상률 반영한 쌀 목표가격 인상 및 강력한 생산조정제 시행 등을 내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