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드러난 유해를 수습하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발굴병들의 모습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그러나 정부가 난색을 보이는 이유와는 별개로 국유단의 현장 투입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문제인 것만은 분명하다. 선체 내 유해발굴과 관련한 전문성이 전혀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마이뉴스> 등의 언론은 국유단에 대해 '해부학이나 문화재·유골 발굴 경력을 갖춘 전문 인력으로 구성됐고, 관련 경험도 국내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한다.
실제로 국유단은 6·25 전사자 유해 발굴에 관한 한 국내 유일의 전문기관인 것은 분명하다. 문제는 관련 경험이 육지 발굴에만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국유단은 6·25 전사자 유해발굴에 특화된 기관인 탓에 대부분 고지 발굴 위주로 발굴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6·25 전쟁 당시 대부분의 전투가 고지 위에서 벌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중 발굴이나 선체 발굴에 대한 경험은 전무하다시피 한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문화재·유골 발굴 경력을 갖춘 전문 인력으로 구성됐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문화재 발굴 경험이 없는 역사학과 재학생들도 선발하고 있다. 따라서 자대 전입 후 처음 유해발굴 현장에 투입되는 병력들이 더 많은 실정이다.
설사 문화재 발굴 경험이 있는 병사라고 해도 유해발굴에 관한 전문성은 담보할 수 없다. 유해발굴과 문화재 발굴은 아예 다른 방식으로 이뤄지는 탓이다. 결국 병사들은 입대 후 유해발굴 현장에서 경험을 쌓게 되는데, 그마저도 전문적인 지식이라기보다는 유해의 개체구분 및 유품 식별과 같은 기초적인 지식만을 습득하는 수준이다. 유가족과 조사위가 원하는 수준의 발굴은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더욱이 세월호 선체 내 유해는 3년 동안 바닷속에 방치되어 있었던 만큼, 유해가 어떤 형태로 훼손되었을지 전혀 짐작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급한 마음에 관련 경험이 부족한 비전문 인력을 투입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낳을 우려가 존재한다.
성급하게 작업 추진하면 오히려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