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왼쪽)와 조선일보 관련보도 제목(7/6)
민주언론시민연합
실제 2009년부터 현 시점에 이르기까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지면에 '고소남'이라는 표현은, 조선일보가 서울시향 성추문 사건을 다룬 <'서울시향 성추문' 1년만의 반전>(2015/11/11 박훈상․변종국․이철호 기자) 보도 부제 <고소남 "증언해달라" 회유 드러나>가 거의 유일한 것인 반면, '고소녀'라는 표현은 각종 성폭력 사건 보도 제목에 수 없이 사용되었습니다. 물론 '무죄남'이나 '유죄남' 같은 표현은 더더군다나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반면 중앙일보의 경우 이날 관련 보도를 내놓았지만 '○○녀'라는 표현 없이 <'박유천 무고' 여성 국민참여재판서 만장일치 무죄>라는 제목을 달았으며, 한겨레는 재판 과정에서 검찰의 2차가해에 가까운 신문 태도를 지적하는 기자 칼럼 <'성폭력 무고' 피고인에 편견 드러낸 검찰>을 내어놓았습니다.
'유흥업소 종업원이지만'이라는 표현이 정말 필요할까동아일보의 경우 이렇게 '○○녀'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해당 기사에 <둘다 유흥업소 종업원이지만 사건 직후 행적에 큰 차이>라는 부제를 달아두기도 했는데요. 성별과 마찬가지로 피소된 인물들의 직업과 성폭력, 명예훼손, 무고 등의 혐의는 논리적 연관관계가 없으며, 두 인물의 사건 직후 행적이 달라진 이유를 설명할 때 굳이 '둘다 유흥업소 종업원이지만'이라는 표현을 덧붙여야 할 이유 역시 어디에도 없음에도 마치 대단히 중요한 정보라도 되는 양 부각하고 있는 셈입니다.
성폭력을 비롯한 범죄 관련 보도, 더 신중해야기본적으로 성폭력과 관련 보도는 사건의 특성상 다양한 인권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해자와 그 가족 등은 보도로 인한 2차 피해 위험에 상시 노출되어 있으며, 피의자가 유명인사일 경우 무죄추정 원칙에 따라 보호받지 못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한국기자협회와 국가인권위원회가 제정한 인권보도준칙은 성 평등 조항을 통해 "언론은 성별과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성차별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양성의 특성을 지나치게 부각하거나 성별을 불필요하게 강조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성폭력 범죄 보도 세부 권고 기준'에서는 언론이 "수사기관이 제공하는 정보라도 그 공개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해 자기 책임 하에 보도"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성적인 상상을 유발하는 표현"을 사용하거나 "성범죄를 사회적 성역할에 관한 잘못된 통념에 기초해 피해자의 도적 관념과 처신의 문제로 인해 빚어진 사건"인양 보도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해당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피의자의 얼굴과 이름 등 신상 정보"역시 "관련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공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보도하지 않"아야 합니다. 기자들은 흥미를 유발하는 표현이나 별 문제의식 없이 사용해왔던 표현을 계속 관성적으로 쓰기 보다는, 이 같은 표현이 사건 관계자 및 사회에 끼칠 부정적 영향을 감안하여 보다 신중하게 관련 보도를 작성해야 할 것입니다.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17년 7월 6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신문 지면에 한함)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공유하기
동아·조선, '○○녀' 명명 없이 제목 지을 역량 없나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