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25일 금정산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는 '금정산 국립공원 추진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본 토론회에서는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 전략과 금정산 국립공원 추진 방향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었고, 이는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의 본격화를 알렸다.
금정산은 부산의 명산으로, 다른 산악형 국립공원과 비교하여도 뒤지지 않는다. 금정산 내 생물종의 개체 수는 1472종으로 국립공원 평균인 1143종보다 우위에 있으며, 지방문화재 보유량과 위치 및 이용편의에서도 다른 국립공원의 평균을 웃도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름다운 자연경관, 상당한 문화적 가치를 지닌 금정산은 우리가 지켜야 하는 부산의 명산이었다.
하지만, 오랫동안 금정산은 훼손되어 왔고, 그러한 훼손은 현재에 와서도 계속되고 있다.
금정산 계명봉 뒤 낙동정맥 구간에서는 수백톤으로 추산되는 불법 폐기물이 발견되었고, 다른 구역에서도 3300m² 규모의 버섯재배농장에서 버린 다량의 폐기물과 심각한 무단 벌목 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산림훼손에도 '금정산 산림순찰반'의 총 인원은 16명 안팎으로 극심한 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
또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채택되는 데 큰 가치로 매겨지는 '장군습지'는 멸종위기 2급 종인 꼬마 잠자리나 가주땅기개를 볼 수 있는 부산의 생태보고였다. 하지만 지난 해 가을부터 육지화가 진행되었고 이는 지하에서 진행되고 있는 터널공사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장군습지'의 육지화는 금정산의 생태학적 가치의 큰 부분을 잃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며, 환경단체 및 부산 시민단체들의 관심이 부족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한편,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 종인 '긴꼬리딱새'의 둥지 근처에 불법 촬영장을 설치하여 야생동물의 생존에 위협을 가하거나, 조상을 기린다는 명목으로 28개의 자연석에 불상, 도깨비 얼굴, 두꺼비 등의 모형을 새겨 자연석을 훼손하는 등의 해괴한 사건들도 있다.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금정산의 문화적, 생태학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자연훼손은 계속해서 심화되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부산시는 '전문적, 통합적 관리'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2005년 '금정산 통합관리'가 최초 제기된 이 후로, 2008년 '금정산 도립공원 지정 검토방안'이 제시되었고, 관리집행의 허술함과 사유지 문제로 인해 계속 무산되던 중에 2013년, 부산발전연구원에서 실시한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연구'가 진행되었다.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연구'에 의해, 자연생태계, 자연경관, 문화경관, 지형보존 그리고 위치 및 이용편의와 같은 환경부의 국립공원지정기준에 금정산이 매우 타당하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그 결과, 자발적인 국립공원 추진 본부가 결성되었고, 2015년에는 '10만 부산시민 서명운동'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현재, '국립공원 타당성 조사'를 위한 용역업체가 선정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며, 내년 말에 나올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금정산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데 있어 결정적인 두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좁은 면적' 문제이고, 두 번째는 '사유지 문제'이다. 금정산 전체 면적은 51.7km²이며, 만약 국립공원 지정 추진과정에서, 재산권 행사 제한으로 주민공청회에서의 난관을 겪게 된다면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수 있는 실제 면적은 40km²에 불과하다. 그리고 금정산의 사유지 문제는 전체 면적의 87%, 즉 51.7km²중에 45km²이 사유지이다.
하지만 전체 면적 56.2km²인 월출산 국립공원 또한 작은 면적으로 논란을 빚었지만 영암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단합으로 문제를 해결했고, 사유지 80%로 이루어진 무등산도 광주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선례가 있다.
따라서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산 지역 주민들의 무한한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 금정산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베풀었던 만큼 이제는 우리의 열렬한 관심으로 금정산의 전문적, 통합적 관리를 위한 '국립공원 지정'을 이루어 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