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분권
경실련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열쇠가 무엇일까? 먼저, 국가적 차원에서 '국민주권'을 부르짖듯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주민주권'을 회복해야 한다. 이게 연방제 수준 지방분권의 첫 단추다. 주민주권은 '실리' 이전에 '당위'다. 주민주권의 '당위'가 '실리'를 선물한다는 경험적 사례는 수도 없이 많다.
둘째, 일하는 방법을 고쳐야 한다. 중앙정치, 중앙정부가 모든 일을 다 할 수 없다. 문재인정부가 새로운 화두로 '사회혁신'을 말하는 것은 사회 활력을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중앙정부, 중앙정치 위주로 국가의 일을 도모하는 것은 한계에 이르렀다. 지방정부, 지역정치 그리고 민간의 활력을 통해 국가의 일을 도모해야 한다. 따라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재배분하고, 중앙정부가 담당했던 기능을 지방정부가 자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일(기능)을 배분하면서 '일'만 이양하면 안 된다. 일과 함께 돈(재정)과 힘(권한)도 지방정부에 이양해야 한다. 또한 사무단위로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경제활성화기능', '노인복지기능', '초중고 교육기능' 등과 같이 대규모 기능별 일괄이양을 해야 한다.
셋째, 돈 쓰는 방법을 고쳐야 한다. 부모가 자녀에게 용돈을 주는 방법에서 교훈할 수 있다. 성인이 된 자녀에게 용돈의 사용처를 일일이 정해 주고, 심지어 자녀가 긴요하게 쓰기 위해 저축한 용돈까지 뺏어, 부모가 시킨 일을 하도록 한다면 어떻게 될까? 자녀는 성년이 됐음에도 스스로 자신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취업, 학업, 그리고 연애 사업에 용돈을 사용하지 못하고 부모의 '시킴'에 따를 수밖에 없다. 용돈의 비효율적인 집행이다. 용돈의 효과 또한 절감된다. 자녀는 무능력자가 될 수밖에 없다. 우리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이런 모습이다. 수천 개의 보조금사업으로 중앙정부는 부모가 자녀에게 용돈 나눠 주듯이 지방정부에 배분하고 있다. 합리적인 배분보다는 '힘'에 의한 나눠먹기식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힘깨나 쓰는 어떤 지역에 1.3Km의 둘레 길을 조성하도록 약 100억을 쓴 보조사업도 있다고 한다. 국가재정이 좀 먹는 일이 도처에 도사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체제를 고쳐야 한다. 쉬운 과제는 아니다. 여러 차례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이 난항을 겪었던 것을 보면 쉽게 달려들 것도 아니다. 먼저, 과거 이명박 정부가 시도했던 '5+2 광역경제권'의 규모로 '광역정부조합'을 운영한다. 다음 단계에서 미국의 주와 같은 '지역연합정부'를 구축해 연방정부 수준의 지방분권을 완성하면 된다.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은 쉽게 접근하면 큰 화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제기한 '일'과 '돈'의 운영을 분권적으로 개혁해 지역주민들이 지방분권의 '실리'라는 열매의 맛을 보게 한다면 자연스럽게 특별·광역시와 도를 통합한 '지역연합정부'의 구성은 가능하리라고 본다.
연방제 수준의 지방분권에 대한 의지와 철학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