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일행 방남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통일선전부장)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천해성 통일부 차관의 안내를 받으며 25일 오전 경기도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를 통해 입경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명박 대통령은 어땠을까. 2010년 3월에 천안함 사건이 터진 지 3개월 뒤, 5.24조치 2개월 뒤인 6월 북측에서 모종의 메시지가 오자, MB는 다음 달인 7월 국정원 고위급 인사를 북에 보냈다.
4개월 뒤인 11월 북측이 연평도에 포격을 가한 뒤에도 정상회담을 위한 남북간 접촉은 계속됐다. 이 과정에서, "남측이 제발 북측에서 볼 때는 '사과'가 아니고 남측에서 볼 때는 '사과'처럼 보이는 절충안을 만들자고 했으며, 김태효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이 '돈봉투'를 주려는 것을 거절했다"는 등의 북측 '폭로'를 둘러싸고 진실게임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 진위와는 별도로 하여튼 이명박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했던 것이다.
박근혜 정부는 또 어떤가. 2014년 10월 15일 김영철 당시 국방위원회 서기실 책임참사 겸 정찰총국장을 군사회담 북측대표로 인정하고 그를 만나 회담했다. 2010년 천안함 사건 당시 직책인 정찰총국장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였다.
박근혜 정부는 교체를 요구하지 않고 그대로 수용했다. 사병수에 비해 장성 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북한 군에 군사회담에 나설 장성이 그 뿐이었을까. 당시 새누리당은 대변인 명의로 군사회담 환영논평까지 냈다.
당시 남북군사회담은 남북관계가 극도로 악화된 가운데, 서해상에서 함정간 교전 사태(10월 7일)까지 벌어졌기 때문에 만들어진 자리였다.
사흘 전인 10월 4일 인천 아시안게임 폐막식에 북한군 1인자인 황병서 총정치국장, 최룡해 비서 등 등 최고위급 3인방 방문을 수용했는데, 김영철을 거부하기는 어렵기도 했을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 자신은 이미, 야당 의원 시절에 방북해 김정일을 만났고, 김정일로부터 1968년에 박정희를 죽이기 위한 북한 특수부대가 청와대 인근까지 침투했던 '1.21'사건에 대한 사과를 받기도 했다.
여기서 질문을 하나 던져본다.
자유한국당이 지금 청와대 주인으로서, 미국이 계속 북에 대한 군사적 공격을 언급하고 북도 이에 정면으로 맞서는 상황에서 이명박이 유치한 평창 동계올림픽을 평화적으로 성공시켜야 하는 입장이었다면, 대남 정책을 총괄하는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의 방남을 거부했을까.
<조선> 2014년 10월 사설... '천안함 도발 주역' 내보낸 북과 대화해야 하는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