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값 아끼려 도시락, 설거지는 막내가 하는 거라고요?

[점심값 만원시대③] 점심 도시락으로 해결하고 설거지는 '가위바위보'로

등록 2018.03.09 11:17수정 2018.03.09 11:17
0
원고료로 응원
직장인들이 출근해 가장 기다리는 시간은 점심시간이 아닐까요? 그런데 점심값이 만원에 육박하면서 마음은 무거워지고 지갑만 가벼워졌다는 푸념만 들립니다. 치솟는 물가 때문에 가정경제도 휘청이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대로 괜찮은지, 대안은 없는지 함께 고민하고 방법을 찾아봐야 할 때 입니다. '점심값 만원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의 목소리에 그 답이 있진 않을까요? [편집자말]
12시 점심시간. 모든 직장인들의 고민이 시작된다.

'오늘 점심은 뭐 먹지?'

매일 반복되는 질문이지만 희한하게도 그때마다 뚜렷한 답은 없다.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다가 으레 가던 식당에 가서 엊그제 먹었던 음식을 또 먹으며 후회하기 일쑤다. 집밥 같이 해주는 식당이 있으면 좋겠다는 투덜거림과 함께.

흔한 점심 맛있는 짬뽕이지만 자주 먹다보면 물리기 쉽상이다
흔한 점심맛있는 짬뽕이지만 자주 먹다보면 물리기 쉽상이다이희동

여기에다 직장인들의 고민을 더욱 깊게 만드는 것은 몰라보게 오른 점심값이다. 나의 월급은 쥐꼬리만큼도 오르지 않았는데 음식 값은 천정부지로 치솟는다. 이제 5천 원을 들고는 사 먹을 수 있는 음식이 거의 없다. 그럭저럭 한 끼를 때우려 해도 7천 원 이상이요, 거래처 직원을 대접하려고 하면 최소 1만 원 이상이다.

몇몇 언론들은 이 모든 것이 2018년 최저임금 인상 탓이라고, 정부의 문제인 양 호도하지만 그것도 이상하다. 나의 월급은 최저임금 인상 폭만큼 오르지 않았는데, 점심 식사의 가격 증가율은 대부분 물가상승률을 상회하기 때문이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 어떻게 해야 할까?

그러나 이런 문제를 소시민인 내가 모두 고민할 수는 없는 법. 대신 이런 엄혹한 시기에 살아남는 나만의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니, 그것은 바로 도시락이다.

다시 도시락을 싸다


고등학교 졸업 이후 회사에서 도시락을 먹기 시작한 것은 5년 전 사회적경제 분야 쪽으로 직장을 옮긴 뒤였다. 활동가의 월급이 그동안 다니던 일반 기업의 그것보다 훨씬 적은 탓에 여러 가지 삶의 패턴을 바꿔야 했는데, 도시락은 그 일환이었다.

고정비를 아끼기 위해 저축성 보험을 끊고, 교통비를 아끼고자 자전거로 출퇴근을 하고,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를 쓰기 시작한 삶. 그러나 역시 가장 큰 변화는 도시락이었다. 한동안 자전거 출퇴근이 일상에 큰 영향을 끼치는가 싶었지만, 그것은 어린이집을 다니는 아이가 둘이 되면서, 그리고 어린이집이 멀어지면서 자연스레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사실 직장인들에게 점심 식사의 형태가 달라진다는 것은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어쨌든 점심은 하루 일과의 가장 큰 낙으로써, 오후 근무를 가능케 해주는 원동력이요, 사무실 동료들과 관계 맺기의 첫걸음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오늘 점심은 뭐 먹지?'를 늘 입에 달고 살지만 그것은 결코 메뉴에 대한 고민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회에 나온 뒤 나의 점심 식사 역시 마찬가지였다. 첫 번째 회사에서는 구내식당에서 점심을 해결하면서 내가 그 조직의 일부임을 절감했었고, 두 번째 회사에서는 영업사원으로서 점심 식사가 곧 업무의 연장이었다. 점심을 통해 거래처를 만났고,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신뢰를 쌓았다.

아빠의 도시락 도시락을 들고 출근하는 직장인
아빠의 도시락도시락을 들고 출근하는 직장인정가람

그리고 다시 시작한 도시락. 물론 경제적인 압박 때문에 싸기 시작한 도시락이었지만, 어쨌든 그것은 지금의 나의 삶을 조금은 다르게 만들었다. 어떻게?

우선 도시락을 먹으면서 사무실 동료들과의 관계가 돈독해졌다. 메뉴 선택의 고민과 나가서 먹는 시간을 아끼게 됨에 따라 그 시간 동안 동료들과 더 많은 대화를 할 수 있게 된 덕분이다. 조용한 사무실에서 함께 모여앉아 도시락을 먹어보자. 말 그대로 동료들이 식구(食口)가 될 수밖에 없다.

또한 도시락은 나와 아내를 더욱 긴밀하게 만들었다. 우리 집의 경우 가사 분담에 있어서 아내는 요리를, 나는 설거지를 맡고 있는데, 그와 같은 상황에서 도시락은 애매한 존재였다. 오로지 나를 위한 도시락인데 그것을 아내에게 부탁하는 것 자체가 미안했다. 그렇다고 내가 직접 도시락을 싸자니 너무 빤한 마른 반찬들.

다행히 아내는 그런 나의 고민을 덜어주었다. 흔쾌히 아침에 일찍 일어나 요리를 해주었으며, 도시락을 싸주었다. 더 나아가 사무실 동료들을 위해 가끔 철마다 비빔밥 등과 같은 특식도 마련해주었다. 고마울 수밖에. 그래서 도시락은 아내와 나를 잇는 또 하나의 사소하지만 매우 큰 매개체이기도 하다.

봄나물 비빔밥 항상 고마운 아내
봄나물 비빔밥항상 고마운 아내이희동

이런 도시락의 효용은 나의 건강과도 직결되었다. 유전적으로 고혈압에서 자유롭지 못한 내게 도시락은 그나마 나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보루이기 때문이었다. 안 그래도 짜게 먹는 걸 좋아하는 식습관인데, 내가 도시락 대신 계속 밖의 음식을 먹었다면 지금과 같이 건강할 수 있었을까?

요컨대 도시락은 나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점심값이 1만 원이 넘는 이 시기에 도시락은 내가 택할 수 있는 최상의 선택이다.

설거지는 누가?

 '그래서 설거지는 누가하지?' 이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가위바위보를 통해 설거지할 사람을 뽑는다면 모든 것이 명쾌할 수 있었다.
'그래서 설거지는 누가하지?' 이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가위바위보를 통해 설거지할 사람을 뽑는다면 모든 것이 명쾌할 수 있었다.pixabay

그러나 이런 도시락 문화가 처음부터 사무실에 쉽게 정착된 것은 아니었다. 처음 내가 이곳에 다니기 시작했을 때만 하더라도 도시락은 일부, 특히 나이 어린 동료들의 전유물이었다. 직급에 따라 월급이 부족했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센터장이 가끔 도시락을 싸오면 문제가 생기는 탓이었다. 바로 도시락을 다 먹고 난 뒤의 어색함이었다.

'그래서 설거지는 누가 하지?'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설거지를 각자 하는 것은 분명 비효율적인 방법이었으며, 그렇다고 나이 어린 친구들만 계속 설거지를 할 수는 없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돌아가면서 설거지를 하는 것인데 센터장이나 국장쯤 되면 점심 약속이 많다 보니 순서가 틀어지게 마련이고, 그러다 보면 또 막내가 나서서 설거지를 하는 일이 부지기수였다.

서로 말은 안 하지만 썩 편치 않은 상황. 센터장은 밑의 직원들에게 미안해서 일부러 점심 약속을 만들거나 밖에서 혼밥을 먹고, 밑의 직원들은 또 그들대로 그런 센터장의 눈치가 보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한다?

가위바위보 매일 살 떨리는 설거지 가위바위보
가위바위보매일 살 떨리는 설거지 가위바위보이희동

그때 등장한 것이 승부였다. 누구에게도 불리하지 않고 누구에게도 유리하지 않는 방법. 바로 가위바위보였다. 가위바위보를 통해서 설거지할 사람을 뽑는다면 모든 것이 명쾌할 수 있었다. 가장 윗사람인 센터장이 불쾌해하지만 않는다면.

다행히 센터장은 가위바위보 제안에 선뜻 응했다. 사회적경제를 장려하고 있는 조직의 장으로서 그 핵심인 민주주의를 직접 실천했다.

그 뒤로 우리는 아무 걱정 없이 도시락을 먹게 되었고, 오히려 설거지 가위바위보는 그 날 하루를 좌우하는 삶의 활력소가 되었다. 센터장이든, 사무국장이든, 연구원이든, 심지어 사무실에서 같이 점심을 먹은 손님이든 예외는 없다. 배달음식을 먹든, 도시락을 먹든 같이 음식을 먹었다면 무조건 설거지 후보 중의 하나다. 

덕분에 방학을 맞아 딱히 갈데없어 온 딸 까꿍이조차도(이제 막 10살이 됐다) 점심식사 뒤 가위바위보를 한다. 아이라고 봐주는 법은 없다. 물론 아이가 걸리면 그 아빠인 내가 설거지를 대신 해주는가는 본인의 선택이지만.

손님은 설거지 중 손님도 예외는 없다
손님은 설거지 중손님도 예외는 없다이희동

점심값 1만원이 버거운 시대. 여러분들께 도시락을 한 번 권해본다. 단, 조직 내 민주주의가 우선이다.

"가위, 바위, 보!"

오늘도 우리 사무실은 여전히 시끌벅적하다.
#점심 도시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와 사회학, 북한학을 전공한 사회학도입니다. 물류와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일을 했었고, 2022년 강동구의회 의원이 되었습니다. 일상의 정치, 정치의 일상화를 꿈꾸는 17년차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서, 더 나은 사회를 위하여 제가 선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오마이뉴스 장지혜 기자 입니다. 세상의 바람에 흔들리기보다는 세상으로 바람을 날려보내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3. 3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4. 4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5. 5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