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올림 농성장 전경.반올림 농성장은 밤이나 비올 때는 비닐을 덮어놓는다. 여름에 더울 때는 비닐을 걷어도 한증막이 따로 없다. 장마철은 정말 숨쉬기가 힘들 정도로, 찜통 그 자체. 그래도 우리는 함께 자리를 지켜왔다.
반올림
강남역 8번 출구. 올 초까지만 해도, 그곳은 자꾸만 이상하게 완공이 지체되는 공사장이었다. 삼성본관 앞 반올림(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 농성을 시작하고 나서부터, 인근 거리에는 CCTV도 우후죽순으로 늘어났고, 8번 출구도 봉쇄됐다. 안전을 지키지 못한 공장의 피해노동자 이야기를 알리려고 눌러앉은 농성장 맞은편, 공사장 가벽에 적힌 '안전제일' 글씨는 마음을 이상하게 했다. 공사장에서 농성장 안으로 불어온 시멘트 가루와 흙먼지가 강남역 사거리의 매연과 섞여 떠다녔다.
엄연한 공유지인데도 갖은 핑계를 들며 농성장을 뜯어내던 경찰과 삼성 경비 때문에 섣불리 천막을 치지도 못했었다. 얼기설기 야금야금 높여간 파라솔은 온실비닐로 덮여 여름에는 온장고, 겨울에는 냉장고, 봄과 가을에는 꽃가루와 매연의 보고가 되었다. 밤과 새벽에는 취객이 시비를 거는 일도 잦았다.
그래도 우리는 그곳이 나름 '5성급 호텔'이라고 농담해 가며, 한쪽에는 꽃과 식물을 심고 오가는 길고양이도 돌보면서 꾸준히 모여들었고, 삼성이 대답하기만을 기다렸다. 얼어붙은 폭포처럼 차갑고 거대한, 묵묵부답하는 삼성의 본관 건물 그늘 아래, 그렇게 우리는 천일간 농성을 이어 왔다.
나는 지난 1년 반가량 반올림 농성장 지킴이로 활동했다. 뒤늦은 결합이었다. 처음에는 2016년 촛불집회에서 방진복 행진에 함께했다. 그러다가 강남역의 농성장을 집처럼 드나들기 시작한 것은 2017년 1월 초였다. 유난히 추운 날이었다고 기억한다. 반쯤 눈에 덮인 비닐 더미처럼 보이는 농성장 앞에서 김기철 씨의 추모제가 진행되고 있었다.
김기철씨는 반올림 삼성반도체·LCD 피해자로는 79번째 사망자였고, 32번째 백혈병 피해자였다. 2017년 1월 14일, 32세에 급성골수성 백혈병으로 목숨을 잃었다.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에서 6년간 일하다 얻은 병이었다.
김기철씨는 삼성전자 협력업체 '크린팩토메이션'에 입사한 뒤 삼성전자 화성공장 15라인에서 수백 종의 화학물질을 다루면서 반도체 웨이퍼를 가공하는 공정을 여기저기 누비며 장비 유지와 보수 업무를 했다. 그러다가 이온주입 공정과 포토 공정 등, 전리방사선과 벤젠 등의 발암물질에 노출되어 투병하다가 사망했다. 병이 다 낫고 나면 다른 피해자들을 돕고 싶다고 하던 정의감 가득한 청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