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회에서 열린 '4차 재정추계의 의미와 과제, 바람직한 국민연금 개혁방향은' 토론회.
김성욱
이번 4차 재정추계에 참여했던 정세은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기금 소진의 의미를 과장하고 70년 후의 기금 소진을 막기 위해 과도한 보험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전형적인 '공포' 마케팅"이라며 "지난 3차에 걸친 재정추계에서 언제나 지배적인 결론은 '기금 고갈'과 이를 막기 위한 '보험료 인상, 급여 축소'였는데 이번에도 예외가 아니었다"라고 평가했다.
최근 보수 언론 등을 중심으로 이어진 '국민연금 기금 고갈론'이 의도적 프레임이라는 것이다. '기금 고갈' 논란은 5년마다 이뤄지는 국민연금 재정추계 때마다 되풀이되고 있다. 현재 연금 설계구조상 고갈은 당연한 것인데, 그에 대한 기본 설명도 없이 불안만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앞서 국민연금 재정추계위원회는 지난 17일 국민연금 고갈 시점이 기존 2060년에서 2057년으로 3년 앞당겨졌다고 발표했다.
정 교수는 "민간 보험사라면 기금 고갈이 큰 문제가 되겠지만, 국민연금은 기금 유지나 가입자의 수익을 덧붙이는 것이 아니기에 기금 고갈이 문제되지 않는 데도 이를 계속해서 부풀린다"라며 "지금처럼 어마어마하게 쌓는 기금이 아니라, 기금을 어떻게 소진시킬지에 대한 판단, 현행 '적립식'이 아닌 '부과식(매년 필요한 만큼 노동 세대에게 보험료를 거둬 은퇴자들한테 연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의 전환 등을 검토해야 할 때"고 강조했다.
윤소하 정의당 의원도 "기금 고갈론으로 조장된 불안감을 가장 즐기고 있을 곳은 사보험 시장일 것"이라며 "적정 소득대체율에 대한 논의가 아니라 기금 고갈론만 부각된다면 결국 수익률이 오히려 더 낮은 민간연금 시장만 확장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윤 의원은 "소득대체율 삭감을 멈추고, 최소한 45% 수준을 유지하고 점차 50%로 높여나가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기도 했다"라고도 했다.
김남희 참여연대 복지조세팀장 또한 "기금 고갈론을 통해 불신을 부추기는 세력이 있다면 막아야 한다"라며 "지금이야말로 국민연금 강화와 공적연금 통합을 위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유재길 민주노총 부위원장도 "기금 고갈론 같은 비생산적인 사회 논란, 국민연금을 의도적으로 세대간 갈등으로 몰아가는 것 등을 경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국민연금 지급보장 명문화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