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유일 분단지역의 상징인 DMZ 평화누리길(500km). 비포장도로와 폐도로, 군작전도로 등을 활용하는 친환경적인 길이며, 평화, 안보, 생태, 역사 등을 연결한 접경지역만의 특화된 길이다. ⓒ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DMZ를 '평화의 랜드마크'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DMZ를 남북한 간의 항구적 평화정착·민족 화해 공간으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다"라며 "DMZ를 세계적인 평화의 랜드마크로 보존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DMZ 전역의 보존을 기본 원칙으로 하되 철도, 도로 등의 시설은 고가화나 지하화시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라고 부연했다.
사실 DMZ의 평화적 사용 논의는 여러 정부를 거쳐 논의된 바 있다. 북은 1990년 남북 고위급회담 등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제안'을 남측에 전달했다. 하지만 미군 철수 등 군축 문제에서 이견을 보여 진전을 보지 못했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 때에도 DMZ에 있는 군사시설을 철수하고 평화적으로 이용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실행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결국, DMZ 이용은 남측에서만 진행할 것이 아니라 남북이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기석 강원대 통일강원연구원장은 "DMZ 평화지대와 관련한 논의가 우리의 시각·방법을 중심으로 구성됐다는 느낌"이라며 "북한에 대한 언급은 형식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칭 'DMZ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남북공동위원회'를 빨리 제안·구성할 필요가 있다"라고 언급했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도 "DMZ 평화적 이용방안은 포괄적인 전략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라며 "종전선언과 북미 연락사무소 개설, 대북제재 완화 등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DMZ 논의, 접경지역 주민과 소통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