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표지
문학동네
실제로 소설 속 K교수와 B강사는 일상에서의 문법을 깨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남들이 하지 않는 행위를 해야만, 남들이 하지 말라는 행위를 해야만 시심을 얻게 된다는 듯, 정말 '별 짓'을 다한다.
유명 시인이면서 대학 강사인 B가 정원을 성추행하기 전에 한 행동도 시 한 줄 써보지 않은 내 눈엔 그저 개그 프로의 한 장면 같기만 하다. 술집 주방에서 양파를 가져와 본인 포함 학생들에게 먹이는 B. B는 양파를 씹으며 눈물을 흘렸고, 정원도 어쩔 수 없이 양파를 먹고는 눈물을 흘렸다. 정원이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자 B는 "네가 시인이다"며 정원을 치켜세웠고, 이후 그는 그녀를 성추행했다.
정원은 "B강사가 취한 행동의 저변에는 자신이 '시적 영혼'의 소유자라는 합리화가 깔려 있었다"고 말한다. 시적 영혼의 소유자라면 필시 금기를 깨야 하고 그 금기를 깨는 밑바탕엔 자유를 향한 열망이 있다는 것. 시인이라면 삶이 강제하는 문법에서 과감하게 탈피해 그 너머로 나아가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 시인이라면 순간의 충동에 의미를 부여해 앞뒤 보지 말고 내질러야 한다는 것. 순간의 충동이 눈 앞에 앉아 있는 여성 제자를 만지라고 하면, 정말이지 앞 뒤 보지 말고 만져야 한다는 것. 아마, B강사는 이런 식으로 자신의 행위를 합리화했을 것이다.
그래서 정원은 '시적 허용'이라는 말이 싫어졌다.
"이제 '시적 허용'이라는 말이 폭력적으로 느껴졌다. 그 말이 어떤 부당함을 시적 특권으로 포장하는 듯했다. 그 특권을 누리는 자들은 그것을 '디오니소스적인 것'이라고 표현하고는 했지만, 그들의 디오니소스적인 면모는 타자, 그중에서도 유독 약자 앞에서만 강하게 분출되는 특징이 있었다."
여전한 문단 내 성폭력
아마 몇 년 전에 나와 다툰 J 역시 '시적 허용' 같은 말에 경도된 사람이었을 것이다. 예술의 이름으로는 무슨 짓을 저질러도 된다는 듯 굴었으니 말이다. 그런데 이런 이들은 정원의 말처럼 '강약약강'인 경우가 많다. 강자 앞에선 허용하지 않는 '시적 허용'을 약자 앞에서만 허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이들에겐 여성 또한 약자다.
김현 시인이 쓴 산문집 <질문 있습니다>를 읽고 나서 나는 도대체 얼마나 많은 시인들이 자신의 삶에서 '시적 허용'을 허용하며 사는지 가늠이 안 갈 정도였다. 김현 시인은 이 책에서 문단 내 남성 시인들이 여성 시인들에게 행하는 성폭력을 폭로한다.
그의 짧은 글을 읽다 보면 과연 이런 일이 현재에도 일어나고 있다는 데 경악하게 된다. 지금 내가 읽는 글 속의 남성 시인들이 우리 부모님 세대에 활동한 시인이 아닌, 80년대생 시인의 눈에 포착된 시인이라는 사실이 실감이 안 날 정도다.
여자 후배에게 맥주를 따르게 해 놓고 가득 따르지 않자 "자신의 바지 앞섶에 컵을 가져가더니 성기를 잡고 오줌 싸는 시늉"을 한 시인이 누구일지 나는 알고 싶으면서도 알고 싶지 않다.
이 글에서 김현 시인은 아무렇지도 않게 성폭력을 자행하는 남성 시인들을 남자 1, 남자 2로 부르다가 이내 숫자 3,4,5로 부르고, 그 숫자는 늘고 늘어 13까지 갔다. 어쩌면 1부터 13까지 숫자 중에 소설 속 정원을 성추행한 B강사 또한 포함되어 있을지도 모르겠다.
'시적 허용'을 다른 말로 하면 "사회의 윤리 바깥으로 나아가려는 문학을 추앙하는 태도"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런 태도 곁엔 "그런 태도를 가진 자들을 추앙하는 태도" 또한 있다. 임솔아 소설가는 둘 중 하나의 추앙만으로는 문단 내 성폭력이 지금까지처럼 공고하면서도 은밀히 자행되지는 못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두 개의 추앙이 만나야 비로소 공모는 완성된다.
두 번째 추앙을 대변하는 소설 속 인물이 현석이다. 정원과 동기인 현석은 사회적 약자를 위해 발 벗고 뛰는 인물이다. 무지개색 팔찌를 차고 다니며 퀴어 페스티벌에 참가하고, 페미니즘 세미나를 개최하고, 장애인 학생을 위해 운동하고, 정원이 B강사에게 당한 일을 말하자 "문학계에 뿌리 박힌 여성 혐오의 오랜 역사를" 개탄하는 인물.
그런 인물이 사건의 진상을 다 알고도 가장 존경하는 시인으로 A교수와 B강사를 꼽는다. "그 시인들은 매 순간 시인이며 그들의 인생 자체가 시다"라는 이유로. 정원은 어떻게 현석이 페미니즘을 지지하며 동시에 성추행범을 추앙할 수 있는지, 알지 못한다. 이런저런 추측 끝에 정원이 도달한 이미지엔 '형들을 졸졸졸 따라다니는' 현석이 있다. "형이 침을 뱉으면 따라 뱉고, 형이 여자를 때릴 때 망을 봤으면서도 그 여자와 함께 형 욕을 해대고, 그러다가 다른 형에게로 옮겨가는 삶."
왠지 멋져보이고 있어 보이는 형들을 추앙하는 사람들. 이런 이들의 추앙에 힘 입어 본인의 가부장적이고도 마초적인 성향을 '시적 허용'이란 이름으로 마음껏 휘두르는 사람들. 이들의 죄의식없는 연결이 하나의 거대한 권력이 되어버린 결과 터져나온 #문단_내_성폭력.
정원은 B강사가 자신을 성추행한 일을 학교에 신고했는데도, "별일 아니라는 결론"을 내버린 학교에 남아 있을 수가 없었다. "학교와 함께 글쓰기도 그만둘 생각"으로 정원은 자퇴서를 쓰기 시작한다. 처음엔 한 문장으로 시작했던 글을 고치고 또 고치면서 정원은 글쓰기 그 자체에 몰입하게 된다. 이제 정원에게 자퇴는 중요한 일이 아닌게 됐고, 오로지 글을 완성하기 위해 쓰고 또 썼다. 아마 정원이 완성한 그 글이 이 소설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