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신정변 전에 찍은 개화파 사진앞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서광범, 세 번째가 민영익이다. 네 번째 어린이는 박용화다. 앞줄 왼쪽에서 첫 번째가 홍영식이다. 뒷줄 왼쪽에서 네 번째가 유길준이다. 한 자리에 모여 사진을 찍었지만 급진 개화파는 갑신정변을 통해 민영익을 비롯한 민씨 정권에 칼끝을 겨눴다.
국사편찬위원회
주시경이 서울에서 근대교육을 받고 사회의식에 눈이 틔는 19세기 말 조선사회는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이 극한으로 치닫던 시기였다.
전통적인 유림세력과 세도정치세력에 의해 권력과 부가 독점되고 척사계열의 수구파가 득세했으나 근대화를 위해 서구문물과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개화파가 등장하면서 점차 위기에 내몰렸다.
수구파는 낡은 봉건체제의 고수와 외세의존을 통해서라도 기득권을 독점적으로 유지하겠다는 지극히 반동적 정치ㆍ사회세력이 되고, 개화파는 서구의 선진제도와 문물을 수용하여 낡은 봉건의 틀을 벗자는 신진 변혁세력이었다. 여기에 동학의 등장과 함께 시대의식이 깨우친 농민중심의 민중세력이 등장하였다.
보수세력은 구본신참(舊本新參)을 내세워 부분적인 제도적 개혁을 시도하면서도 여전히 자신들의 기득권에 매몰되어 임오병란과 동학농민혁명 때에 두 차례나 외국군을 불러들이고, 개화파는 동도서기(東道西器)와 동양적 문명발전론인 '개물성무(開物成務) 화민성속(化民成俗)'를 내세우면서 갑신정변을 통해 권력을 장악했으나 '3일천하'에 그치게 되었다.
아직 정치ㆍ사회세력이 취약한데다 외국세력에 의존함으로써 광범위한 백성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농민 세력은 동학을 구심체로 하여 거대한 민중세력을 형성했지만 지도부의 분열과 일본군의 막강한 화력 앞에 30만 명의 희생자를 낸 채 막을 내렸다. 그 즈음 국내 정세를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