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치워도 치워도 밀려오는 해양 쓰레기, 중국과 공조 절실

어기구 의원실 "해양 쓰레기 문제, 국제 공조 필요 공감"

등록 2020.10.07 16:30수정 2020.10.07 16:31
0
원고료로 응원
 

해양 쓰레기, 서해안 남당리 인근이다. 오마이뉴스 자료사진

 
바다가 육지에서 흘러간 비닐과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현생 인류가 플라스틱으로 상징되는 인류세에 살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바다를 오염시키는 오염원은 더 있다. 어선에서 나오는 폐그물과 각종 어구들에 의해서도 심각하게 오염이 되고 있다. 폐어구나 폐로프 등의 어선 발 부유물들은 선박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폐어구 등 해양 부유물은 선박의 추진기에 감겨 이른바 '감김 사고'의 원인이 된다. 선박의 추진기에 폐그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갈 경우, 추진기의 날개가 파손되고 심하게는 엔진이 멈추는 사고가 나기도 한다.

지난 6일 어기구(더불어민주당·충남 당진) 의원실에 따르면, 폐어구나 폐로프 등 해상 부유물이 선박 추진기에 감겨 발생하는 사고 건수가 연간 290여 건에 달한다.

지난 2015년 249건, 2016년 279건, 2017년 311건, 2018년 278건, 2019년 346건으로 집계됐다. 폐어구 감김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해양수산부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폐어구를 수거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어기구 의원실은 "해양수산부는 폐어구 피해방지와 (바다) 환경정화를 위해 최근 5년간 701억 원의 예산을 배정하고, 매년 4600톤 이상의 폐어구를 수거하고 있다"며 "하지만 폐어구와 같은 해상 부유물에 의한 선박 사고는 계속 늘어가는 추세이다"라고 지적했다.

보령해양경찰서 관계자는 "그물을 무단 투기하는 사례는 극히 적은 것으로 안다. 요즘은 어선들도 자체적으로 정화작업에 동참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육지에서 밀려온 해양쓰레기로 인한 사고도 종종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조업 과정에서 그물이 일부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요즘은 의식이 높아져서 어구를 무단 투기하는 사례는 거의 없다. 해양 쓰레기 수거 사업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어기구 의원실, 해양 쓰레기 국제공조 관련 법안 발의 
 

해양 쓰레기 중에는 중국에서 해류를 타고 밀려온 플라스틱 부표도 있다. ⓒ 이재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양쓰레기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바다에는 국경이 없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실제로 해양 쓰레기 문제는 국내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최근 서해안에서는 중국산 플라스틱 부표가 종종 목격되고 있다.

어기구 의원실도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국제공조가 필요하다는 점을 공감하고 있다. 어기구 의원실은 지난 9월 29일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 퇴적물 관리법'을 발의한 상태이다. 법안에는 국제공조를 위한 정부부처간 협의체 구성의 근거가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어기구 의원실 관계자는 "해양폐기물은 외교문제가 섞여 있다. 다양한 정부부처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정부의 다양한 부처가 모인 위원회를 구성해 공동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해양 쓰레기 #어기구 의원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유주의자. 개인주의자. 이성애자. 윤회론자. 사색가. 타고난 반골. 충남 예산, 홍성, 당진, 아산, 보령 등을 주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3. 3 나의 60대에는 그 무엇보다 이걸 원한다
  4. 4 이성계가 심었다는 나무, 어머어마하구나
  5. 5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