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17일 법원의 강제집행이 진행된 서울 신사동 가로수길의 한 건물 앞에 건물주의 경고문이 붙어 있다. 그 옆에는 맘편히장사하고픈상인모임(맘상모)에서 '임차상인도 함께 살자'란 표어를 붙였다.
김시연
2020년 아무도 예상치 못했던 코로나19의 발생으로 그 확산의 속도가 조금 느려지기는 했지만, 서울의 골목길은 여전히 변화하고 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더 이상 멈출 수 없는 도시 현상이다. 따라서 우리가 해야 할 보다 중요한 고민은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 자체를 문제 삼는 것보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최대로 하는 동시에 부정적인 효과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인 이익이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공평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공정한 개발(equitable development)을 위한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일은 경제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인 합의다. 만약 사회의 각 구성원 – 부동산 개발업자나 투자자, 혹은 임대인 - 이 극도의 이윤추구보다 사회적 공익에 더 가치를 둔다면, 젠트리피케이션은 지금처럼 폭력적이지 않을 수 있다.
아니 오히려 젠트리피케이션은 기회일 수도 있다. 미국의 브루킹스 연구소에서는 쇠퇴한 지역에 기존 주민보다 부유한 계층이 유입되어 주거환경이 개선되고 빈곤이 집중되어 침체되었던 지역에 사회적, 경제적으로 활기가 생기는 젠트리피케이션의 긍정적인 효과를 최대로 하는 '활기가 넘치는 장소만들기(transformative placemaking)'의 전략을 세우고 있다. 활기가 넘치는 장소만들기의 핵심은 바로 지역주민의 참여다. 지역주민의 정체성(identity), 전망(vision), 필요(needs)와 요구(desire)가 반영된 장소를 창조하는 것이다.
공정한 개발을 위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과정도 마찬가지다. 먼저,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 가령 서울시라면, 서울시 관련 부서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지역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분석을 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무원, 지역주민, 투자자, 전문가 등 다양한 지역 주체들의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젠트리피케이션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이해해야 한다.
이 모임에서 지역의 공정한 개발을 위한 통합된 비전과 계획을 수립하고, 상황변화에 따라 수정해 나가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사람'이다. 즉, 지역 주민들 스스로가 주인의식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변화의 중심에는 바로 '지역 주민'이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흔들리는 서울의 골목길>, <엄마 말대로 그때 아파트를 샀어야 했다> 출간, 주택, 도시, 그리고 커뮤니티를 공부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마주한, 다소 낯설지만 익숙해지고 있는 한국의 여러 도시들을 탐색 중 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