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아프간 소식에 뜬금없이 소환된 한국... 그 행간

[역사로 보는 오늘의 이슈] 전쟁 패배 인정하지 않는 미국의 시각

등록 2021.08.19 09:25수정 2021.08.19 09:25
1
원고료로 응원
 미국 현지시각으로 16일 마크 티센이 올린 트위터 글. 이 글에서 그는 "만약 남한이 이 같은 지속적인 공격 하에 놓인다면, 그들은 합중국의 도움이 없어지자마자 신속히 붕괴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미국 현지시각으로 16일 마크 티센이 올린 트위터 글. 이 글에서 그는 "만약 남한이 이 같은 지속적인 공격 하에 놓인다면, 그들은 합중국의 도움이 없어지자마자 신속히 붕괴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마크 티센 트위터 갈무리

한국을 아프가니스탄 정부군에 비유한 미국 언론인의 글이 논란을 일으켰다. <워싱턴포스트>에 칼럼을 쓰는 마크 티센(Marc Thiessen)의 트위터 글이 바로 그것.

아프간 전쟁을 수행한 조지 부시 행정부에서 부시 대통령과 도널드 럼스펠드 국방장관의 연설문을 작성했던 티센은 16일 트위터에 "만약 남한이 이 같은 지속적인 공격 하에 놓인다면, 그들은 합중국의 도움이 없어지자마자 신속히 붕괴할 것(If South Korea were under this kind of sustained assault, they would collapse just as quickly without US)"이라며 "우리 없이 스스로 지킬 수 있는 미국 동맹국은 사실상 없다"라고 썼다.

한국 같은 나라도 미국의 지원이 없으면 아프간 정부군처럼 될 수 있다는 이 글의 함의에 주목한다. 티센이 한국을 과소평가하진 않는 듯하다. 그렇다고 해서 미국의 우월함을 과시하기 위한 것도 아닌 것으로 보인다.

그의 의도는 전쟁의 본질을 흐리는 데 있다. 아프간 전쟁의 당사자는 아프간 정부군과 탈레반이며 미국은 후원자일 뿐이라는 논리가 그의 말 속에 전제돼 있다. 지난 5월부터 미군이 철수를 시작한 것이 아프간 정부군의 패배를 초래했으며 미국은 패배자가 아니라는 메시지를 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바이든의 속내

티센 혼자만 이런 생각을 하는 게 아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공식 언명에서도 비슷한 논리가 보인다. 한국 시각으로 17일 오전 6시 2분인 미국 동부 시각 16일 오후 4시 2분에 발표한 그의 발언에서도 그런 생각이 담겼다.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논평(Remarks by President Biden on Afghanistan)'이라는 제목의 발표문은 애초에 미국이 전쟁을 일으킨 것은 빈 라덴의 알카에다 조직을 아프간에서 내쫓기 위한 것이었다는 견해를 드러낸다.


바이든은 "우리는 2001년 9월 11일 우리를 공격한 자들을 잡아들이고 알카에다가 아프가니스탄을 우리를 재차 공격할 기지로 삼지 못하도록 확실히 해두겠다는 분명한 목표를 갖고 약 20년 전에 아프가니스탄으로 갔다"라며 자신이 부통령이었던 2011년에 이 목표가 성취됐음을 은연 중에 표시했다.
 
우리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알카에다를 현저히 약화시켰다. 우리는 빈 라덴에 대한 추격을 결코 포기하지 않았으며, 그를 잡았다. 그것이 10년 전이었다.
 
그런 뒤 "아프가니스탄에서 우리의 임무는 결코 국가 건설이 아니었다"라며 "통일적이고 중앙집권화된 민주주의 국가를 만드는 게 아니었다"라고 말했다. 서구형 민주주의국가를 아프간에 수립하는 것까지는 애초에 의도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런 다음, 현 사태의 책임은 아프간 국민들과 아프간 정부에 있다고 짚었다. "아프가니스탄 정치 지도자들은 포기했으며 나라를 떠났다" "싸우려고 노력하지 않는 모습을 종종 보이던 아프간 군대는 무너졌다" "아프간 군대가 스스로를 위해 싸울 의지를 보이지 않는 전쟁에서 미국 군대는 싸울 수도 죽을 수도 없으며 그래서도 안 된다" 등의 발언을 했다. 이런 말들을 통해 미군 철수를 합리화한 것이다. 


바이든의 말에 따르면, 미군 특수부대가 빈 라덴을 사살한 2011년 5월 2일 미국이 이 전쟁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는 논리가 성립한다. 2021년 현재 벌어지는 사태는 '싸우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고, 스스로를 위해 싸울 의지가 없는' 아프간인 들의 실패로 귀결된다는 말이 된다. 아프간인들이 스스로를 돕지 않았기 때문에 미군이 철수할 수밖에 없으며 패배의 장본인은 아프간 정부군이라는 이 같은 논리는 마크 티센의 발언에서도 드러난다.

9.11 테러 주역인 빈 라덴의 신병 인도를 요구하면서 미국이 전쟁을 일으킨 2001년 10월 7일 당시, 아프간을 이끈 정부는 지금의 아프간 정부군이 아니었다. 1996년부터 이 나라를 이끈 탈레반이 2001년 당시의 아프간 정부였다.

지금의 아프간 정부군은 이 당시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다. 전쟁 도중에 미국에 의해 만들어져 탈레반과의 싸움에 나서게 됐을 뿐이다. 지금도 그렇지만 처음에도 전쟁의 주체는 미국과 탈레반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전쟁의 패자와 승자는 이 둘 중에 있을 수밖에 없다. 

아프간 전쟁은 미국 자신들의 전쟁이기도 했다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이 16일(현지시간) 수도 카불을 장악한 뒤 차에 탈레반 깃발을 달고 순찰하고 있다. 탈레반은 성명을 통해 "전쟁은 끝났다"며 승리를 선언한 뒤 "아프간 국민은 정상적인 삶을 영위해 나가라"고 말했다.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이 16일(현지시간) 수도 카불을 장악한 뒤 차에 탈레반 깃발을 달고 순찰하고 있다. 탈레반은 성명을 통해 "전쟁은 끝났다"며 승리를 선언한 뒤 "아프간 국민은 정상적인 삶을 영위해 나가라"고 말했다.연합뉴스=EPA
 
17일 AP통신이 린다 빌메스 하버드대학 교수와 브라운대학 전쟁비용 프로젝트의 데이터를 토대로 보도한 바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아프간에서 희생된 미국 민간인은 3846명, 미군 장병은 2448명이다. 연합군인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군인은 1144명 희생됐다. 국제 구호단체 직원들도 444명 희생됐다.

아프간 민간인은 4만7245명, 탈레반과 반정부군은 5만1191명, 아프간 정부군과 경찰은 6만6000명이 희생됐다. 어느 쪽이 더 많이 희생됐는가를 따질 필요 없이, 미국 쪽도 적지 않은 희생을 치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동시에 진행된 아프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위해 미국 정부가 채권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2조 달러다. 한국 돈으로 약 2356조 원. 이로 인해 2050년까지 갚아야 할 이자 비용은 3배 정도인 6조5000억 달러(약 7657조 원)다. 오늘날 미국 재정이 악화되고 국제적 권위가 추락해 있는 이유 중 하나가 여기에 있다.

미국이 이 같은 희생과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아프간 전쟁을 수행한 것은 이것이 자신들의 전쟁이었기 때문이다. 남의 전쟁을 돕고자 출혈을 감내한 것은 결코 아니다. 바이든의 발언과 상반되는 현실이 지난 20년간 전개돼 왔던 것이다.

미국과 동맹국들이 처음부터 자신들의 전쟁으로 생각하고 아프간에 갔으며, 탈레반을 축출하는 정도가 아니라 새로운 국가 건설을 목표로 했다는 점은 전쟁을 일으킨 연합국 지도자들의 발언에서도 드러난다.

2002년에 <민족연구> 제8호에 수록된 '아프간 전쟁 관련 자료'에 따르면, 2001년 10월 7일 공격 개시 뒤에 조지 부시 대통령은 담화문을 통해 "나의 지시로 미군이 아프가니스탄의 알 카에다 테러조직 훈련기지와 탈레반 정부의 군사시설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고 한 뒤 "지금 우리는 아프간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전장은 더 넓다"고 말했다. 바이든은 테러조직 축출이 목표였다고 말하고 있지만, 전쟁을 일으킨 부시는 '전장은 아프간보다 더 넓다'고 말했다.

조지 부시를 도와 전쟁을 함께 일으킨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10월 8일 하원에서 발표한 성명을 통해 "일단 전투가 끝나면 우리는 그들을 저버리지 않을 것"이라고 발언했다. 아프간 민중을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약속한 것이다.

어떤 식으로 책임을 질 것인가에 관해 그는 "우리는 그들을 지원해 그들이 광범위한 지지 기반을 가진, 모든 민족집단을 포괄하는 정부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바이든은 '우리의 임무는 새로운 국가 건설이 아니었다'고 말하고 있지만, 블레어는 '포괄적인 정부 수립을 돕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던 것이다.

전쟁 실패 인정은 쉽지 않다, 하지만
 
 아프간 전쟁 종료에 대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국민 연설을 중계하는 CNN 방송 갈무리.
아프간 전쟁 종료에 대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국민 연설을 중계하는 CNN 방송 갈무리.CNN
 
전쟁의 승패 여하는 '누가 더 많은 피해를 입었는가'가 아니라 '개전 주체의 목표가 성취됐는가'를 기준으로 가려지는 게 일반적이다. 임진왜란으로 인한 피해는 조선이 더 많이 입었지만, 그렇다고 조선이 전쟁에서 졌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조선 정복이라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목표가 실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1871년 신미양요 때도 조선의 피해가 더 컸지만, 시장개방이라는 애초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미국이 이 전쟁의 패배자로 기억되고 있다.

전쟁을 일으킬 당시에 미국은 아프간 정권교체를 목표로 했다. 탈레반을 붕괴시키는 게 그 목표 중 하나였다. 그런데 그 탈레반이 20년 만에 아프간을 다시 장악했다. 누가 전쟁의 승자이고 누가 패자인지를 잘 보여주는 장면이다.

전쟁의 실패를 인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이마저도 하지 않는다면 패전국은 희망을 가질 수 없다. 10년 전의 빈 라덴 사살을 새삼 거론하며 미국의 성과를 운운하고, 스스로 돕지 않는 아프간 정부군을 도울 필요가 없어서 미군이 떠난다는 식으로 둘러대는 것은 미국이 이 전쟁으로부터 교훈을 얻을 자격이 있는지를 의심케 만든다. 한국도 미국의 도움이 없으면 아프간처럼 될 것이라는 막말 역시 미국의 미래를 의심케 만든다.

코로나 19와 국론 분열이 심각한 상태에서 아프간 전쟁 실패까지 자인하게 되면, 미국은 더 큰 혼란에 빠질 수도 있다. 베트남 전쟁 패전 직후와 달리, 지금은 패전을 인정하기도 힘든 상황에 놓여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엄연한 현실을 부정할 수도 없다. 향후 전개될 전쟁책임 공방을 바이든 행정부가 어떻게 헤쳐 나갈지 주목된다.
#아프간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탈레반 #아프간 정부군 #마크 티센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kimjongsung.com.시사와역사 출판사(sisahistory.com)대표,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친일파의 재산,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등등.


AD

AD

AD

인기기사

  1. 1 경찰까지 출동한 대학가... '퇴진 국민투표' 제지에 밤샘농성 경찰까지 출동한 대학가... '퇴진 국민투표' 제지에 밤샘농성
  2. 2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제가 사과드리겠습니다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제가 사과드리겠습니다
  3. 3 구글 내부에서 감지된 이상한 분위기... 한쪽에선 '심각한 경고' 구글 내부에서 감지된 이상한 분위기... 한쪽에선 '심각한 경고'
  4. 4 윤석열 정부가 싫어한 영화... 시민들 후원금이 향한 곳 윤석열 정부가 싫어한 영화... 시민들 후원금이 향한 곳
  5. 5 낙동강에 푸른빛 독, 악취... 이거 정말 재난입니다 낙동강에 푸른빛 독, 악취... 이거 정말 재난입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