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자료사진).
오마이뉴스
트럼프 대통령 시절 2019년 12월 미국과 중국은 보복관세를 줄이는 무역협정에 1차로 합의하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공장산업의 탈환이라는 트럼프의 치적을 의식하여 중국과의 무역협정을 잠정 중단하면서 강경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2021년 8월 5일 미국 내 31개 경제단체들은 바이든 행정부에게 중국과의 무역협정을 재개해 비생산적인 관세를 철폐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들은 중국이 금융시장을 개방하고 있는 점을 높게 평가하고, 중국에게 산업보조금 삭감과 국유기업 특혜 중단을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미국과 중국은 관세전쟁이 자국의 산업과 소비자에게 불리하고, 미중관계를 전반적으로 악화시킨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특히 바이든은 트럼프 효과 때문에 중국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결국 적절한 시기에 명분을 찾아 타협할 수 밖에 없다.
미국이 이미 공산품에 대한 경쟁력을 상실하였기 때문에 중국 공산품에 대해 보복관세를 부과한다고 해도 미국은 공장산업을 탈환할 수 없다. 결국 공산품은 중국, 고부가가치 산업은 미국이라는 분업 즉 협력관계를 복원시킬 수밖에 없다.
미국은 각종 서비스 산업, 금융산업, 지식산업에 대한 자신의 독점을 제도화하고 중국이 이 분야의 문호를 개방할 것을 요구하고 대신 공산품에 대한 보복관세를 철폐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미중 관세전쟁은 미국이 공장산업의 보호라는 명분으로 시작했지만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한 독점을 보장받는 실리를 얻는 것으로 끝나게 된다. 즉 오늘날 관세전쟁은 과거와 달리 협상을 목표로 하는 전술에 불과하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민주노동당과 통합진보당에서 12년간 기관지위원회와 정책연구소에서 일했다. 『민주노동당과 민주노총의 관계』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통합진보당 해산 사건』, 『연방제 통일과 새로운 공화국』, 『미국은 살아남을까』, 『코리아를 흔든 100년의 국제정세』, 『 마르크스의 실천과 이론』 등의 저서를 썼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