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제주에서 집 짓고 4년, 더 나은 삶 꿈꾼다면 이렇게

[제주살이를 꿈꾸는 당신에게 : 최종회] 코로나 시대, 제주에 산다는 것

등록 2021.09.28 07:22수정 2021.09.28 07:22
3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이제 제주살이 4년차에 접어들었다. 그 사이에 거셌던 제주 러시 현상은 다소 진정된 듯하다. 그러나 아직도 제주 이주를 꿈꾸는 사람들이 적지 않고, 제주 1년 살이 혹은 1달 살이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뜨겁다. 이 글은 동아일보 기자와 세종대 초빙교수를 지내고 은퇴한 후 제주로 이주한 한 개인의 일기이자 제주에서의 생활을 소재로 한 수필이다. 어떤 이유에서든 제주도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에게 제주의 자연환경,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그리고 한국현대사의 축소판이라 할 제주사회를 이해하는 데 유익한 읽을거리가 되길 기대한다.[편집자말]
백약이오름 100가지 약초가 자란다는 백약이오름의 평화로운 풍경. 제주살이에서 오름은 커다란 활력소가 된다.
백약이오름100가지 약초가 자란다는 백약이오름의 평화로운 풍경. 제주살이에서 오름은 커다란 활력소가 된다.임관표
 
제주 생활 4년 차를 맞아 시작한 탐라국 일기 연재를 오늘로 마무리해야 할 것 같다. 이제 정확히 3년 하고도 반년이 지났다. 연재하면서 느낀 점 가운데 하나가 여전히 제주살이에 관한 관심이 뜨겁다는 사실이다. 특히 제주의 역사와 그에 얽힌 사연에 반응이 많았다는 점을 상기하면, 표피적인 정보보다는 제주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려는 욕구를 지닌 사람들이 많은 듯하다.


제주 생활 3년이 지나자 지인들로부터 계속 제주에 살 것인가 혹은 제주에 살아 보니 어떠냐는 질문을 자주 받게 된다. 이런 질문을 하는 배경에는, 지금쯤은 제주 생활이 싫증나거나 힘들어서 다시 육지로 돌아가고픈 마음이 생기지 않았을까, 하는 궁금증이 깔린 듯하다.

제주에서 3년 반 살아보니

굳이 이런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가 아니더라도 이 시점에서 제주살이 중간 점검을 해보는 것도 의미 있을 듯하다. 아무래도 처음 이주해올 때와는 달라진 점도 있고, 예상치 못한 일들도 많았으니 말이다.

연재 첫 회에서 서울에서와는 다른 새로운 삶에 대한 동경을 말한 바 있다. 일단 도시 생활이 전혀 그립지 않다고는 할 수 없지만, 아직은 돌아가고 싶은 마음은 없고, 가까운 미래에도 그럴 것 같지는 않다. 답답한 도시보다는 자연 속의 생활환경이 훨씬 좋고, 낯선 사람들과 어울려 사는 것도 이제는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 가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살이를 시작할 때 가장 기대했던 건 자연을 즐기는 일이었다. 그래서 올레길을 걷고, 한라산을 자주 오르고, 멋진 오름들을 찾아다니고 싶다는 희망을 이야기했다. 살아 보니 제주살이의 묘미는 역시 이런 데 있는 것 같다. 중단했던 올레길은 마저 완주했고 올가을부터는 두 번째 올레길 걷기를 계획하고 있다. 요즘 제주는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으니 다시 한 번 올레길을 걸으면서 제주를 구석구석 느껴보고 싶다.
 
협재해수욕장에서 본 비양도 비양도 가파도 마라도 우도 추자도 등 제주도에 딸린 섬들도 각기 나름대로의 매력을 지니고 있다.
협재해수욕장에서 본 비양도비양도 가파도 마라도 우도 추자도 등 제주도에 딸린 섬들도 각기 나름대로의 매력을 지니고 있다.임관표
 
제주도 전역에 걸쳐 368개가 있다는 오름은 제주살이의 가장 큰 즐거움이다. 여기에 더해 숲길이며, 휴양림이며, 곶자왈 그리고 한라산 등 제주의 풍성한 자연이야말로 기대 이상의 만족감을 안겨준다. 그동안 겨울감기 한번 걸리지 않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었던 건 제주의 자연 속에서 지낸 덕분이 아닌가 싶다.


반면 제주에 오면서 구상했던 취미생활은 절반의 성공에 그친 것 같다. 바다낚시를 해보겠다고 낚싯대 한 세트를 사서 왔지만, 실제 낚시를 나간 것은 서너 번에 그쳤다. 서예 공부를 계속하겠다는 계획은 나무 가지치기 작업을 하다가 어깨 힘줄이 파열되는 부상을 당해 중단한 상태다.

정원을 아름답게 꾸며보겠다는 포부도 밝혔는데, 막상 해보니 쉽지 않은 목표였다. 겉으로는 정원 풍경이 그럴듯하게 보이지만, 즐겼다기보다는 힘에 겨웠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잔디도 마찬가지다. 잡초 뽑으랴, 잔디 깎으랴 늘 힘이 달렸다. 텃밭 역시 고생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직접 기른 채소를 식탁에 올려 먹는 맛은 좋았지만 역시 잡초 뽑아주느라 고생스러웠다. 나무, 화초, 잔디, 텃밭 어느 것 하나 만만한 게 없다. 해도 해도 끝없는 풀과의 전쟁에 힘겨웠던 나날이었다.


다행히도 독서를 실컷 해보고 싶었던 바람은 어느 정도 이룬 것 같다. 아무래도 도시에서와는 달리 생활이 단순한 편이므로 책을 읽을 시간이 많다. 특히 비 내리는 날이 많은 제주의 기후 특성상 온종일 책을 읽는 호사를 누릴 수도 있었다.
 
눈밭에 나온 노루들 제주도는 노루 천국이기도 하다. 일년내내 노루가 자주 눈에 띈다.
눈밭에 나온 노루들제주도는 노루 천국이기도 하다. 일년내내 노루가 자주 눈에 띈다.임관표
 
코로나19 시대에 제주에 산다는 것

코로나19를 빼놓고 제주살이를 이야기할 수도 없겠다. 예상치 못한 팬데믹 상황에 힘들어하지 않는 사람이 없겠지만, 그래도 제주는 상대적으로 견디기에 수월했다. 주변이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인구밀도도 낮은 중산간 지역이다 보니 코로나 감염의 위험도는 대도시에 비할 바가 아니다.

서울의 아파트에 살고 있다면 현관문을 나서는 순간 마스크를 써야겠지만, 여기선 그럴 필요가 거의 없다. 낯선 사람을 마주칠 일도 거의 없으니 사람 많이 모이는 업소를 일부러 찾아가지 않는 한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운 편이다.

코로나 청정지역이던 제주에 한때 4단계 방역 조치가 내려지기도 했으나 대부분 주택과 업소가 밀집한 지역이나 관광객이 많이 몰리는 장소가 위험에 노출됐을 뿐이다. 문제는 이 코로나바이러스가 완전히 퇴치되지 않고 매년 백신을 맞아가며 함께 살아가는, 이른바 위드 코로나 시대가 불가피하다는 사실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면 그나마 제주에 사는 게 얼마나 다행스러운가를 절감하게 된다. 인구밀도가 낮고 숲이 많으니 육지의 대도시에 비해 사람들 간의 밀접 접촉 확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코로나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새로운 바이러스 출현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제주도의 환경조건은 커다란 행운이 아닐까 싶다.

황사나 미세먼지도 훨씬 덜하다. 황사 출현 일수도 적고, 강도도 약한 편이다. 미세먼지도 간혹 농도가 높아지기도 하지만 대도시에 비하면 훨씬 낮다. 이래서일까, 제주의 인구가 최근 들어 다시 늘고 있다고 한다. 2010년대 중반의 제주 러시가 끝난 후 한때 줄기도 했던 인구가 코로나19 유행 이후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통계가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어리목 도로 한라산 등산코스의 하나인 어리목 가는 길에 눈이 내려 멋진 설경을 보여준다.
어리목 도로한라산 등산코스의 하나인 어리목 가는 길에 눈이 내려 멋진 설경을 보여준다.임관표
 
더 나은 삶을 꿈꾼다면

인간은 누구나 '지금보다 나은 삶'을 꿈꾼다. 제주살이를 꿈꾸는 사람들은 대부분 제주의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서 건강한 삶을 누리고 싶은 욕망이 있을 것이다. 나 역시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한 것 같다. 자연환경이 좋다고 해서 반드시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자연환경이 더 나은 삶을 위한 필요조건이라면 제주사회를 잘 이해하는 것은 충분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토박이든 이주민이든 이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 함께 부대끼며 생활하는 데서부터 제주살이는 시작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제주의 역사를 이해하고, 문화적 특성을 알아야 하고, 사회적 이슈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요즘 제주대학교에서 진행하는 제주어 강좌에 등록해 제주방언을 배우고 있는 것도 이런 생각에서다. 제주 이주 첫해 시민4·3아카데미에 참가해 제주 현대사를 공부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였다. 다행히도 제주도엔 이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많다.
 
이호테우해변의 일몰 이호테우의 상징인 말등대 뒤로 노을이 지고 있다.
이호테우해변의 일몰이호테우의 상징인 말등대 뒤로 노을이 지고 있다.임관표

제주도에서는 육지에서 이사 온 사람을 이주민이라고 한다. 단순히 집을 옮긴다는 의미의 이사를 온 게 아니라 새로운 삶을 살고자 왔다는 의미가 가미된 표현이다. '제주살이'라는 식의 용어도 유독 제주에서 자연스럽게 들린다. 하긴 제주도가 아니라 제주특별자치도가 정식 명칭이다. 이렇게 제주와 관련한 특별한 표현들은 이곳이 그만큼 특별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제주살이를 꿈꾸는 사람들은 일단 특별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이라고 해도 과히 틀린 말은 아닐 것 같다. 제주살이 4년 차에 불과한 필자의 탐라국 일기가 제주에서의 특별한 삶 혹은 특별한 여행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연재를 마친다. (2021.9)
#제주살이 #코로나_시대의_제주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8년 봄 제주로 이주했다.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과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 그리고 제주현대사의 아픔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은퇴로 소득 줄어 고민이라면 이렇게 사는 것도 방법 은퇴로 소득 줄어 고민이라면 이렇게 사는 것도 방법
  2. 2 남자를 좋아해서, '아빠'는 한국을 떠났다 남자를 좋아해서, '아빠'는 한국을 떠났다
  3. 3 서울중앙지검 4차장 "내가 탄핵되면, 이재명 사건 대응 어렵다" 서울중앙지검 4차장 "내가 탄핵되면, 이재명 사건 대응 어렵다"
  4. 4 32살 '군포 청년'의 죽음... 대한민국이 참 부끄럽습니다 32살 '군포 청년'의 죽음... 대한민국이 참 부끄럽습니다
  5. 5 소 먹이의 정체... 헌옷수거함에 들어간 옷들이 왜? 소 먹이의 정체... 헌옷수거함에 들어간 옷들이 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