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서 함께 책을 읽고 필사하는 반 아이들의 모습
진혜련
나는 초등학교 4학년인 우리반 아이들과 일주일에 한 번씩 숲에 갔다. 학기 초부터 가기 시작해 벌써 숲에서 두 계절을 넘게 보았다.
도시에 있지만 숲세권인 우리 학교는 교문에서 숲까지 가는 데 삼 분도 채 걸리지 않을 만큼 숲이 가깝다. 아무리 숲이 코앞이라고 해도 코로나19가 아니었다면 선뜻 아이들과 매주 숲에 갈 결심을 할 수 있었을까? 아마 그렇지 못했을 것이다.
코로나 때문에 가장 힘든 사람은 아마도 아이들이 아닐까 싶다. 뛰노는 것은 아이들의 사명이기도 한데 그럴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학교에 와서도 아이들은 스무 명이 훌쩍 넘어 꽉 찬 교실에서 종일 마스크를 쓴 채 수업을 받았다. 어른인 나도 갑갑한데 아이들은 얼마나 답답할까. 나는 아이들을 데리고 숲으로 향했다.
숲에 갔던 첫날, 산책을 마치고 교실로 들어가는데 우리반 아이가 불쑥 나에게 다가와 말을 걸었다. 아이는 내가 뭘 물어보면 늘 단답형으로 대답하던 무뚝뚝한 남자아이였다.
"선생님, 2교시는 천국이었어요."
아이는 나에게 엄지손가락을 올려 보이며 씨익 웃었다.
아이의 웃는 얼굴이 너무 해맑아 나는 천국이었다는 말을 그대로 믿을 수밖에 없었다. 무슨 일이 있어도 아이들과 매주 숲에 가겠다는 약속은 꼭 지켜야겠다고 다짐했다.
사실 유튜브를 좋아하는 요즘 아이들이 혹시 숲을 따분하고 지루하게 생각하진 않을까 조금 미심쩍었다. 초등학교 4학년 때 부모님과 산에 갔던 내 기억을 떠올려봐도 온통 나무뿐인 산이 그리 재밌게 느껴지지는 않았었다.
그런데 우리반 아이들은 숲에 가는 것을 무척 좋아했다. 아이들이 평소 나에게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 '선생님, 숲에 언제 가요?'였을 정도다.
아이들이 숲을 이토록 좋아하는 이유는 뭘까? 그건 아마도 친구들, 선생님과 함께 여럿이 어울려 가는 숲이기 때문이지 않을까. 또한 건물 속 교실을 잠시 벗어나는 데서 오는 해방감일지도 모르겠다. 아이들은 교실에서보다 숲에서 더 많이 말하고, 더 많이 웃었다.
스스로 책읽고 연주하는 아이들
나는 아이들과 숲에 갈 때 조금 가벼운 마음으로 길을 나섰다. 숲에 갔으니 아이들에게 다양한 식물의 이름을 가르쳐주고, 숲을 활용해 전문적인 생태 수업을 해봐야겠다는 계획은 하지 않았다. 그렇게 된다면 숲에 가는 게 하나의 부담스러운 일거리가 되어 꾸준히 하기 힘들 것 같았다.
나는 교실에서 하던 수업을 장소만 바꾸어 숲에서 했다. 우리는 숲에서 책을 읽고, 글을 쓰고, 학급 회의를 하고, 그림을 그리고, 악기를 연주했다. 그리고 숲길을 걸었다. 고불고불 숲길을 걷다 고사리를 보고, 뱀딸기를 보고, 아까시나무를 봤다. 그것만으로도 아이들은 즐거워했다.
어떤 것을 하든 숲이라는 공간에서 하면 특별해졌다. 그중 아이들은 '숲과 책의 만남', '숲과 음악의 만남'을 소중히 여겼다.
우리는 휴대용 방석 하나와 책 한 권씩을 들고 가서 '숲속독서'를 했다. 아이들은 집, 교실, 도서관이 아닌 숲에서 책을 읽는다는 것에 신나 했다. 책을 읽는 공간만 바꾸었을 뿐인데 독서가 즐거운 일이 됐다.
숲에서 책을 읽으면 자리도 좀 불편하고, 벌레가 날아와 귀찮게 하기도 했다. 하지만 숲속독서에는 그것을 기꺼이 참을 수 있을 만큼의 낭만이 있었다. 숲이 주는 신비롭고 환상적인 분위기에서 책을 보면 마치 동화 속 한 장면으로 들어온 기분이 났다. 숲에서 읽은 책은 책상 앞에서 읽은 책과 분명히 달랐다.
"책 속에서 햇빛이 반짝거려요."
아이들은 숲에서 책을 펼치면 나뭇잎 사이로 들어온 햇빛이 일렁이는 게 예쁘다며 좋아했다. 그렇게 읽은 책을 어떻게 잊을 수 있을까. 나는 아이들의 열한 살 때 독서가 이 장면으로 기억되길 바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