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오전 광주 북구의 한 중학교에서 총 13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 이 학교 1~2학년 학생들이 전수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학생들은 학교를 안전하다고 생각해서 등교할까? 아니다. 지금 학생들은 학교가 안전해서가 아니라 불안하지만 어쩔 수 없어서 등교한다. 학교에선 나름대로 열심히 방역 대책을 세워 불안함을 줄이려 하고 있지만, '코로나 걸리면 어떻게 하지?'라는 학생들의 불안한 마음은 줄지 않고 있다. 나는 예방 접종 확대가 이 불안한 마음을 줄일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9월 27일 질병관리청은 12~17세 소아청소년 예방 접종 계획을 발표했다. 10월 5일부터 보호자 동의하에 접종 예약을 받고 10월 18일부터 접종하겠다고 한다. 늦었지만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예방 백신에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백신 접종의 효과가 더 크다는 전문가들의 과학적 견해를 더 믿기 때문이다.
얼마 전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예방 접종 희망 여부를 물은 적이 있었다. 예방 접종 후 사망했다는 뉴스가 쏟아질 때라 많아야 50% 정도일 거라 생각했었다. 그런데 한 반 33명 중 25명(76%)이 희망을 하고 3명은 모르겠다, 5명만이 맞지 않겠다고 해서 희망 비율이 높아 내심 놀랐다. 불안하지 않냐고 하니 안 맞는 게 더 불안해요라고 했다. 학생들 역시 예방 접종을 불안하지만 현재 택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맞은 학생에 대한 부작용 여부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맞지 않는 학생에 대한 비난, 따돌림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교사의 철저한 정보 관리와 세심한 주의 관찰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③ 교육청·교육부의 약속 지키기와 학교 여건에 맞는 현실적 지원 필요
지난 1학기 교육청에 요청하여 추가 인력 4명을 지원받은 적이 있었다. 2학기 때도 당연히 지원이 가능할 줄 알았는데, 행정실에서 방역 인력을 계약하지 않았다. 이유를 물어보니 추가 인력의 인건비를 정산하려고 교육청에 예산 지원을 요청했더니, 처음 약속과는 달리 전부 학교에서 부담하라고 해서 학교가 부담했다고 했다. 그럴 줄 알고 신청 안 하려고 하다 담당자 다짐을 받고 채용했는데 역시나였다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2학기 추가 지원 인력 채용을 할 수 없다고 했다. 학교 예산이 없다고. 주변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런 일이 내가 근무하는 학교에서만 일어난 것 같지는 않다.
또 학생수라는 획일적인 기준이 아니라 학교 형편에 맞는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학생 수는 물론이거니와 학교급, 건물 수, 식당 규모, 칸막이 설치 여부, 급식소 여부, 보건교사 근무 여부, 등교 인원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 학교 여건에 맞는 세심하고 현실적인 방역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부는 그동안 코로나 대응 방안에 빠짐없이 학교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지원책을 믿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지원한다고 했으면 지원해야 한다. 또 그 지원은 학교 형편에 맞는 맞춤형이어야 한다.
④ 치명률 등 코로나19 정보의 투명한 공개
정보를 공개하지 않으면 의심이 생기고 그 의심의 틈으로 가짜 뉴스가 들어가 학생들의 불안을 증폭시킬 수 있다. 그런 면에서 7, 8월에 접종한 고3 학생들에 대한 예방 접종 부작용 유형도 공개해야 한다.
또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해서는 확진자 수보다 치명률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등교 확대 주장의 주요 근거 중 하나가 청소년들은 코로나에 걸려도 중증이나 사망하는 비율, 즉 치명률이 낮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교육부에서 이틀 단위로 발표하는 교육 분야 확진자 현황을 봐도 고3 학생들의 부작용 유형과 치명률은 알 수 없다. 부작용 걱정할 필요 없다고, 치명률이 낮다고 말만 할 것이 아니라 구체적 수치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이로 인해 약간의 혼란은 있을 수 있겠지만 그것이 더 큰 혼란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⑤ 비난보다 서로 믿고 격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