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위 내시경 회복실 위 내시경 후 이곳에서 꿀잠을 잤다.
오안라
나는 식도염 환자다. 그것도 바렛(위산의 오랜 역류로 식도 세포가 일부 위 세포로 변형된 식도)이라고 악성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식도염이라 해서 대학병원에서 정기검사를 받아 왔다.
식도염 환자는 대체로 위염 환자이기도 하다. 요즘 식도염은 젊은 층에서도 많이 발병하지만 나처럼 위염이 오래 되서 식도염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다. 나는 30대부터 위염을 앓아 왔고 덕분에 꾸준히 내시경 검사를 해 와서 자칭 위내시경에서는 선수 급이라고 자부하고 있었다.
그간 내시경을 할 때는 기도문 하나를 암기하며 내시경 호수를 꿀꺽꿀꺽 삼켜야 하는 거부감을 견디어 왔다. 수면 내시경을 한 번 해보긴 했는데 하루 종일 수면 상태인 것 같은 몽롱함이 꺼림칙했다.
이미 여러 번 했던 수술과정에서 쓰인 마취약물도 건강에 악영향을 끼쳤을 거라 생각하니 잠깐 마취를 하는 수면내시경에 거부감이 들었다. 그렇게 해서 일반 내시경을 오래 하다 보니 "검사 잘 받는다"는 칭찬을 들을 만큼 나는 내시경에 자부심이 있었다. 그런데 지난 해 검사 직후 허리를 펴지 못할 정도의 통증을 겪은 후 내시경 선수에서 은퇴할 때가 되었음을 깨달았다.
일반 내시경은 마우스피스를 무는 것에서 시작한다면 수면내시경은 마우스피스를 무는 것에서 시작과 끝이 동시에 일어난다. 끝이라 함은 기억이 끓어지는 것이다. 내시경 전에 컴퓨터에 앉아 진료기록을 보던 의사의 등이 마지막 기억이 된다.
수면 내시경에서는 마우스피스를 통해 서서히 들어오는 내시경 호스를 손을 내저어 막고 싶은 절박한 심정이 느껴지지 않는다. 숨을 크게 쉬며 '그래, 견디어 보자'라는 결심의 기억도 없다. 내시경 호스가 위를 탐색할 때 느껴지는 무력감도 모두 약물의 도움으로 기억에 존재하지 않는다.
주변의 소음으로 눈이 떠지면 30분의 시간이 사라진 후다. 의사의 진단은 이미 보호자인 남편에게 전해진 뒤다. 눈을 뜬 내가 몇 분 만에 깨어났냐고 물었다는데 이 역시 기억에 없다. 물어보기 좋아하는 성격은 무의식에서도 작용했나 보다.
"환자의 식도염은 악성이 될 가능성이 없으니 비련의 여주인공이 될 일은 없어요."
남편은 의사의 진단 결과를 전해 주었다.
'하트 모양의 바렛, 비련의 여주인공.' 이번 진료 결과의 용어들은 산뜻하고 새롭다. 담당의사가 요즘 문학책을 많이 보는 걸까? 아니면 내가 최근에 어설픈 책이나마 한 권 낸 것을 눈치라도 채고 이런 문어적인 표현을 한 것일까? 엉뚱한 생각을 하면서도 문학적 표현이 식도염이라는 병명을 순화시켜 준 것 같아 나쁘지 않다.
내시경을 마치고 받는 의사진단은 나에겐 통지표다. 다음 정기검사까지 안심하고 살다 오라는 위로의 선물이기도 하다. 남편을 통해 전해들은 진료 결과에 나는 1년이란 시간을 다시 벌었다.
이번 통지표를 전달 해준 남편은 선물세트도 함께 줬다. 흰 죽이다. 일반 내시경 후에는 밥을 하던 아내가 계속 수면상태에서 침대를 지키자 손수 쌀을 불리고 빻아 처방대로 흰 죽을 쑤었다.
결혼생활 중 처음 있는 일이다.
"이렇게 죽을 잘 쑤니 손주 야채죽도 만들어 보면 어떨까"라고 칭찬을 했다. 적당한 환자로 옆에 있으면 부부로 늙어가는 게 든든하기도 하다. 이제는 병명 몇 개쯤은 친구 삼은 나이가 됐다. 부드러운 죽을 먹으며 아픈 곳은 달라도 서로의 보호자가 되기에는 아직은 끄떡없다 싶었다. 남편의 흰 죽은 내시경 통지표에 첨가된 또 하나의 선물이 됐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삶의 반짝거리는 순간들을 기억하기 위해 글을 씁니다. 일상안에 숨어있는 선물을 놓치지 않기 위해 문장을 짓습니다. 글쓰기는 일상을 대하는 나의 예의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