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7년에 문을 연 구미시립 봉곡도서관. 왼쪽이 종합자료실이 있는 A동, 오른쪽이 어린이 자료실이 있는 B동이다.
장호철
지난 2007년에 문을 연, 우리 동네의 구미시립 봉곡도서관 구내에는 돌비가 셋이나 서 있다. 두 기는 고종 연간에 흉년으로 굶주린 이웃을 위해 곳간을 열어 이들을 구제한 이를 기린 빗돌이고, 나머지 하나는 '의로운 소의 무덤', 곧 '의우총(義牛塚)' 비석이다.
개의 경우는 '의견(義犬)', 또는 '의구(義狗)'라 하여 무덤으로 기리는 예가 있지만, "웬 소?" 싶으면서도 무심코 지나다닌 지 여러 해가 지났다. 전국에 분포하는 의견 설화는 구미에도 있어 해평면 낙산리에 의구총(義狗塚)이 전한다. 술에 취한 주인이 들판에 잠들었는데 불이 나자, 몸을 물에 적셔 불을 꺼 주인을 구하고 숨진 개의 이야기다.
옛 주인을 따라 죽은 소를 기린 '의우총 빗돌'
그런데 무덤도 없이 외롭게 서 있는 빗돌의 주인공은 '소'다. 물론 이 소는 구미시 산동면에 있는 '의우총'의 소와는 다르다. 무덤으로 소를 기린 예는 다른 지방에는 없는 일인데 구미에서만 두 기나 있다. 산동 의우총은 조선 인조 연간(1623~1649)의 것, 봉곡동 의우총은 고종 연간의 일이다.
봉곡동의 '의로운 소'는 조선 말기 지역에 살던 여양 진씨 진숙발의 처 밀양박씨가 거둔 소였다. 밀양박씨는 가난한 데다 일찍이 홀로 되어 암소 한 마리를 기르며 살았다. 그런데 어느 날 암소는 송아지를 낳은 지 사흘 만에 죽고 말았다.
박씨는 어미 잃은 송아지를 흰죽과 나물죽을 끓여 손에 발라 핥게 하는 등 극진하게 보살폈다. 더러 보리죽도 먹여가며 기른 송아지는 무럭무럭 자라 큰 소가 되어 2년 동안 박씨와 함께 논밭을 갈았다. 박씨는 세상을 떠나기 전에 소를 인근 김천 개령 사람에게 팔았다.
박씨의 장례일, 상여가 집을 나서려 할 때 웬 암소 한 마리가 상여 앞으로 달려들어 눈물을 흘리더니 미친 듯이 부르짖기 시작했다. 개령에 팔려 간 소가 우리를 뛰어넘어 30리 길을 달려온 것이었다. 소는 미친 듯 날뛰다가 상여 앞에서 기진해 죽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