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김풍배 목사.
최미향
여행을 하다 피곤해지면 벤치에 앉아 배낭에 넣어둔 책을 꺼내 읽었다. 여행지에서 읽는 한 권의 책은 피로감을 씻어주는 동시에 청량제 역할을 해 준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중간중간 가만히 책을 덮고 먼 하늘을 올려다보기도 했다. 작가와의 거리가 한층 가깝게 느껴진다. 책 속에서 또 다른 삶을 살아낸 작가의 고된 시간들, 동시에 그 속에서 상처를 치유했으리라 생각하니 다행스럽다.
지난 15일 서산 비전교회 김풍배 목사를 만났다. 그는 시, 시조, 소설, 수필로 늦깎이 등단을 한 작가로 지역에서 왕성한 문학 활동을 하고 있다.
- 너무 많은 호칭이 있어 뭐라고 불러야 할지 모르겠다. 먼저 글을 쓰게 된 계기를 말해달라.
"목사님으로 불러주는 게 더 좋다(웃음). 나에게 문학은 운명처럼 다가왔다. 학창 시절 잠시 꾸었던 문학이란 꿈은 삶이란 현실 앞에 한낱 사치로 여겨졌다. 그러는 사이 문학은 나에게서 멀어져갔고 아름다운 감성은 딱딱하고 무미건조한 관념 앞에 무너져버렸다. 그러다 정년퇴직을 했고 허한 마음에 글을 썼다. 그것이 문학인 줄 몰랐다. 숫자는 나에게 밥을 먹여 주었고, 집을 장만하게 해 주었으며 아이들을 가르쳐 주었다.
돈과 조그만 명예(?)를 준 직장도 때가 되자 나를 놓아버렸다. 정년은 나에게 낭떠러지 같은 절망을 몰고 왔다. 의지할 곳도 찾아갈 곳도 없는 처지가 되었다. 알면서도 준비하지 못한 어리석음으로 인해 캄캄한 어둠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그 기분을 무엇에 비유할까? 마치 마라톤 선수가 사력을 다해 42.195Km를 달리고 골인 지점을 통과한 후 바닥에 쓰러진 그 기분? 그때 어째서 정년 퇴임한 사람들의 25%가 죽거나 병에 걸리게 되는지를 알게 되었다.
아침 일찍 일어나 세수하면서 '내가 무엇 때문에 이렇게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있지?'에 놀라고, 아침 먹은 후 어디론가 가야 할 것 같은 알 수 없는 조바심에 놀랐다. 집을 나섰다. 사방을 두리번거려도 갈 곳이 없음을 알고 난 후의 허망함과 낭패감. 아이들도 이미 가정을 이뤄 잘 살고, 걱정 없는 삶이 일편 생각하면 참으로 행복할 텐데 마음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다 끝난 것 같은, 외톨이가 된 것 같은, 망망한 바다에 홀로 남겨진 섬 같은 그런 마음이었다.
그때 문득 책상에 앉아 마음에 차오르는 생각의 응어리를 끄적이기 시작했다. 썼다가 찢기도 하고 구겨 주머니에 넣었다가 버리기도 하였다. 그렇게 썼던 글. 가슴 속에서 용트림하다 툭 튀어나왔던 글, 그것이 문학인 줄 몰랐다. 그것이 시가 될 줄 몰랐다.
시는 그렇게 나를 찾아왔다. 문학이 운명처럼 다가온 것이다. 나는 생각날 때마다 썼다. 때로는 모아두기도 했다. 외로울 때마다. 심란할 때마다, 삶에 대한 회의가 찾아올 때마다 썼다. 그렇게 쓴 글들이 책상 한 모퉁이에 두툼하게 쌓여 갔다. 그 때쯤 친구 박영춘 시인을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