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지방선거의 지역구 여성의원 당선자 현황
한국여성단체연합
성평등 사회를 위해 여성의 대표성은 반드시 확보되어야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 세계적으로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많은 국가들이 다양하고 적극적인 조치들을 도입하여 여성의 정책결정 과정 진출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나아가 여남동수제를 채택하여 여성들이 정치에 진출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있으며 여성의 지방의회 당선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경남 고성군의 경우 군의원 11명 중 여성이 6명으로 절반이 넘는 의석을 차지하였고, 강원 태백, 경기 의정부, 과천에서 여성의원이 과반의 의석을 차지하는 고무적인 결과도 있었다. 여성의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정치현실을 고려하여 여성대표성 강화를 위해 도입된 '여성할당제'는 선거 때마다 제도적 장치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하지만 거대 정당은 이번 제8회 지방선거에서 지역구 후보 30% 여성할당을 대체적으로 이행하지 않아 여성은 지역구를 통해 의회에 진출하기는 여전히 쉽지 않았다. 우리 사회의 정치 영역에서 여성의 대표성은 남성 기득권에 밀려 늘 후순위로 밀려났고 이번 지방선거 또한 그 변화는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6.1 지방선거 이전 지난 3월 14일 국가인원권위원회 전원위원회에서 '성평등한 정치대표성 확보를 위한 권고의 건'을 가결하고 국회의장과 각 정당대표에게 권고안을 주문하였다. 선거에서 여성후보 비율을 높여 결과적으로 선출직 여성정치인 비율을 높이고 남성중심의 정치질서를 성평등한 정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적극적 조치를 촉구한 것이었다.
그러나 KBS가 이번 선거에 기초의원, 광역의원을 포함한 출마자를 전수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여성후보자 비율이 정의당이 52.9%, 더불어민주당이 32.5%, 국민의 힘이 26%였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거대 양당은 당헌‧당규상의 여성공천 30% 명시와 당대표의 여성후보공천 약속은 지키지 않았고 이전 선거에서와 마찬가지로 여성후보를 당선권이 아닌 후순위에 공천하는 등의 여성의 대표성 확대에 여전히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2022년 지방선거 결과 우리나라는 여전히 국회의원뿐만 아니라 지방의원, 지방자치단체장도 국민의 절반인 여성을 과소 대표하는 상황은 전혀 개선되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변화하지 않는 성차별적 정치 환경, 정치권 내 결핍된 성평등 의식, 저조한 여성 공천 비율이 결국 성평등한 정치를 위한 여성 대표성 확대의 한계로 이어졌다.
이제 제8회 지방선거를 끝낸 정치권은 특히 우리사회 정치영역에 구조적 성차별이 크게 존재함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차별 없는 성평등 사회를 위해 여성 대표성은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며 성평등은 시대적 요구임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정당은 정치영역에서 남성 중심적 정치 현실과 여성이 과소 대표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비례대표뿐만 아니라 지역구 의석에도 여성공천 할당제를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정당법, 공직선거법 등을 개정하여야 하며 이를 시행하기 위한 근거 규정을 조속히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여남동수 의회 실현을 향한 여성정치 대표성 확대를 위해 할당제 관련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선거제도 자체를 성인지적으로 재구성하는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 기초자치단체장의 여성 과소대표 개선과 젠더공정성 연구(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은경, 2021)
- 여성정치 대표성 제고 및 여성의 독자적인 정치세력화를 위한 정치관계법제와 선거제도의 성인지적 개선방안은(KWDI, 이슈페이퍼, 2021)
- "2022 지방선거 남녀동수를 향하여"(한국여성의정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토론회, 2021.04.15)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에 대한 논평(한국여성단체연합, 2022.06.08.)
- 서울경제(2022,06.02. 정상호)
- 우먼타임즈(2022.06.02. 천지인)
- 경향신문(2022.06.08. 김정호)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1987년 창립된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지속가능한 성평등 사회를 만들고 여성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연대를 이뤄나가는 전국 7개 지부, 28개 회원단체로 구성된 여성단체들의 연합체입니다.
공유하기
2022년 지방선거, 여성정치 대표성 확대 얼마나 이뤄졌나?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