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조강연기념세미나에서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이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윤종은
이어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가 '유신독재를 '청산'(?)한 6월 항쟁'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했다. 그는 "7.4 공동성명이후 박정희의 모든 담화는 북한을 대화 상대이자 동시에 경쟁의 상대로 설정하고 냉전 이완의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냉전 이념이 흔들리자, 새롭게 변화된 국제 질서 속에서 남북 경쟁이라는 변화된 국면에서 우위에 서려는 의도의 표현이었다. 결국 남북적십자 회담,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의 비밀 대북 방문, 7.4공동성명 등 일련의 대북 대화와 '통일 담론' 제창은 박정희 정권의 정치적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수단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유신체제는 통치의 방법에서는 명령과 폭력으로, 그것을 정당화한 이데올로기로는 반공주의와 성장주의 한국적 민주주의를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문화적으로는 국민적 유기적 일체성을 강조한 국민총화의 논리에 기초해 있다. 유신체제 하 최대의 조작 사건은 이른바 '인혁당 사건과 '민청학련 사건'은 박정희 정권이 위기를 돌파하고 민주화 운동세력을 위축시키기 위해 관련자들을 고문해서 '만들어낸' 대표적인 조작사건으로서 국정원 진실위원회의 진실규명과 법원의 판결로 최종적으로 그 조작사실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긴급조치는 74년 1월 8일 제1호가 선포된 이래 79년 12월 8일 '긴급조치 9호'가 해제될 때까지 유신시절을 상징하는 통제체제였다. 유신헌법은 국민주권, 권력분립, 기본권 존중 등 민주주의 원칙을 위배한 법이었다. 또 10월 유신을 정당화하기 위해 박정권은 '생산적인 정치'를 강조하면서 수량적 성장 지표, 후진국 콤플렉스, 북한과의 체제경쟁, 강박증 등이 그의 국가주의의 실제 내용을 이루고 있다.
유신체제는 동의보다는 폭력에 의거하여 유지되었고 통일이라는 거창한 민족적 과제를 겉으로 내세우면서 실제로는 파시즘적 정치체제의 수립의 명분으로 삼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어 "전두환의 5공화국도 유신체제의 연장으로 유신과 마찬가지의 명령과 폭력으로, 그것을 정당화한 이데올로기로는 반공주의와 성장주의를 그대로 유지했다. 6월항쟁은 73년 이후의 반유신 운동, 1981년 이후 5공 거부 운동의 결과였고 자유민주주의의 틀 내에서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자는 운동이기도 했다. 이는 한국의 군부-공안 지배블럭을 결정적으로 약화시킨 계기가 되었고, 국민의 기본권, 삼권분립,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 가능성을 열었다. 6월 항쟁으로 유신과 5공 체제가 부인하였던 노조활동의 자유, 언론의 자유, 사법부의 독립을 허용하고 국가보안법-반공법 체제, 통일운동에 대한 원천적인 금압 상황을 돌파할 계기를 열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러나 대통령 직선은 사실 유신 이전의 대통령 직선제 상태로 회귀하는 점은 있으나, 유신으로 이른 5.16 쿠데타 체제의 청산에 미치지 못했다. 민주화 이후에도 여전히 이들 두 기관에 의한 정치개입, 고문, 불법 사찰, 간첩조작, 사상통제는 계속되었고 이들 두 초국가기관의 활동에 보조적인 역할을 했던 검찰 등 비선출권력이 이제 민주화에 편승하여 가장 핵심적인 권력기관으로 부상했다. 급기야는 비선출권력인 검찰 수장이 대통령이 되었고 이는 6월 항쟁의 최고의 역설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6.29 선언으로 6월 항쟁이 일단락되었다는 것은 유신독재, 5공 청산의 가장 결정적인 한계이며 정치변혁의 헤게모니는 제도 정치권으로 넘어갔고, 항쟁 세력은 자신의 모든 투쟁의 성과를 제도 정치권에 위임하게 되었다. 박정희식 근대화, 경제성장, 그리고 국민총화의 논리는 파시즘적 국가주의의 성격이었고 '성장'의 담론은 국가의 무제한적인 동원과 반인권적인 행동을 정당화하였다.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도 이 성장주의를 결코 넘어서지 못했다. 오히려 문재인 정부는 보수 정부 이상으로 성장을 강조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