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가 1주일 전(81명)의 1.77배인 144명을 기록한 25일 오후 서울 광진구 혜민병원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입원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재유행이 시작되었다. 불과 한 달여 전이 6월만 해도 하루 신규 확진자가 만 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안정적 상태로 유지됐다. 당시 전문가들은 코로나 재유행이 가을 이후에 일어날 것이라 전망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A.5의 유입으로 재유행이 빨라졌고, 26일 신규 확진자 수는 10만여 명에 다다르는 등 상황이 심상치 않게 돌아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코로나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지난 25일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를 전화로 인터뷰했다. 다음은 엄 교수와의 일문일답.
-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인 BA.5의 유행으로 하루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었는데, 현재 상황을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지금 확진자가 나오는 추이를 보셔서 아시겠지만 한 2주 전부터 재유행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거고, 정점을 향해서 (가기 시작하면서) 확진자가 늘어나는 기간이 된 거죠. 그래서 예상대로라면 이번 주에는 확진자가 하루에 10만 명이 넘는 날이 나올 것 같고 빠르면 3주 길면 4~5주 사이에 정점이 될 것 같아요."
- 실제 감염자를 확진자의 두 배로 보는 것 같은데, 두 배 이상일 수도 있을까요?
"보통 감염병이 생기게 되면 무증상 상태거나 증상이 굉장히 경미하기 때문에 진단받지 않는 사람들이 항상 존재해요. 그런데 최근에는 증상이나 징후가 확실해도 자가검진을 한 뒤에 본인의 상황에 따라서 확진 검사를 할 건지 말지를 스스로 결정하는 분들이 많아요. (그래서) 무증상자나 아니면 검사를 받지 않고 넘어가는 사람들까지 포함시켜 보통 2배 많을 때 한 3배까지 추정하거든요. 즉, 지금 두 배는 넘어갈 것이라고 생각을 하는 거죠."
- 감염자가 많으면 안 좋을 것 같아요. 확진자는 자가격리하지만, 감염자는 자신의 상태를 명확하게 모르니까 돌아다닐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렇죠. 일단 진단이 제대로 안 되면 실제 유행 규모를 확인하는 데 상당한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어요. 유행의 규모를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면, 예를 들어 병상부터 시작해서 의료 자원을 얼마나 준비하고 어떻게 배분해야 될지에 대한 결정이 빠르게 이루어지기 어러워요. 그러다 보면 당연히 희생자가 더 늘어날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거죠."
- 그런 문제는 어떻게 해야죠?
"이전에 오미크론 BA.1, 2가 유행할 당시, 기존의 3T(정확한 진단과 역학조사, 신속한 치료) 전략을 중단했거든요. 그러다 보니 국민의 정서 아니면 생각들을 과거와 같은 형태의 진단 체계나 진료 체계로 다시 돌리기에는 좀 쉽지 않게 됐어요. 그리고 과거와 같이 어떤 특정한 장소나 공간들을 정해놓고 진단하고 치료하는 체계는 지속성에선 문제가 있거든요.
예를 들면 환자가 많이 줄었을 때는 그것을 줄이고 늘어나면 또 늘리고 하는 것들이 인력을 관리하거나 예산을 관리하는 데 쉬운 건 아니에요. 지금 상태에선 1차 병원이나 2차 병원들이 중증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코로나19 환자들의 진단이나 치료를 책임지는 형태로 변화해야 지속적인 대응이 가능하다고 보고요. 그러면서 실제 진단 체계는 PCR과 같은 체계로 전환하는 게 조금 더 정확도를 높이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상황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는 거죠."
- 확진자 수가 폭증하면서 선별진료소가 적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요.
"그렇게 볼 수도 있는데, 실제 선별진료소를 활용하는 사람들은 고위험군들이라고 보기는 어렵거든요. 그러니까 편리성 측면에서 활용도가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늘리는 것에 대해서 찬성하지만 모든 검사를 거기서 해결하는 상황으로 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