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병을 들고있는 김진성을 촬영한 사진‘배스(Bass : 영국 맥주회사)’의 엷은 색깔의 다 마신 맥주병 10여개를 보스톤 발행의 사진판 신문인 ‘에브리 새터데이(Every Saturday)’에 싸서 한 아름 안고 있는 모습
미국 폴게티 박물관
우리나라에도 역사 속 술들이 있다. 1871년 5월 30일 미국 군함에서 조선인 관리 중 한 명인 인천부 아전 김진성이 들고 있던 영국 맥주병이다. 이 사진은 미군 함대가 강화도를 침략한 신미양요(辛未洋擾) 때 이탈리아계 종군사진가 펠리체 베아토가 찍은 사진이다.
아마도 김진성은 들고 있던 맥주병은 전쟁이 있기 전 문정관(조선 후기 외국배의 출현과 외국인의 표류시 그 사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임명된 관직)들과 배에 올라 미군과의 대화 분위기를 편하게 하기위해 사용되지 않았을까 싶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 대화는 큰 성과가 없었던 듯 하다.
이 사진을 찍은 이틀 후 1871년 6월 1일에 조선과 미국 간 전투가 벌어진 것이다. 신미양요 이후 조선은 척화비를 세우고 쇄국 정책을 강화하면서 이 사진은 결국 우리나라에서 찍힌 최초의 맥주 사진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1882년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당시에도 술이 등장한다. 미국 측 통상 조약 전권대신 슈펠트(Robert W. Shufeldt)에게 다양한 음식과 함께 이강고(현재 이강주)를 선물했다. 이것을 받은 미국 대표 펠트가 칭찬이 대단하여 "어느 곳을 막론하고 음식을 보면 그곳의 풍토와 인물이 어떠한지를 알 수 있는데, 오늘 내놓은 음식은 그 진미가 뛰어나고 과일도 싱싱하니 다음에 무궁한 발전이 있겠다" 하였다. 이강고라는 술이 미국 대표의 환심을 사려한 목적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국가행사에서도 주요하게 등장한 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