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발표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세미나에서 김종진 (사)유니온센터이사장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윤종은
이어서 김종진 (사)유니온센터이사장은 '유연근무제 확대 등 윤석열 정부 노동시간 정책의 문제점과 대응과제'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한국의 노동시간 법제도는 국제노동기구(ILO)나 유럽연합(EU) 등과 비교해보아도 장시간 노동체제(법정노동시간, 연장근로 및 특례, 연차휴가, 휴게시간 등)가 지속되고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이나 장시간 노동 확대, 특례 업종 확대(스타트업 등) 및 유연근무 도입 등은 노동조건 악화와 노동자 건강권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사안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이런 정책은 전 세계적으로 노동시간 단축 흐름과 역행하는 것이며 포괄임금제 폐지, 특별연장 근로 인가 규제와 같은 법률 추진과 함께 실노동시간 단축, 일과 삶의 균형이 가능한 ILO와 EU 기준으로의 지향, 산업 및 국가 차원에서 기후위기 및 미래세대 문제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노동시간 제도 설계의 핵심은 일과 생활의 균형
박성우 직장갑질119 운영위원은 '노동시간을 둘러싼 현장 갑질 사례 분석과 시사점'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과 이메일의 두 방식으로 연간 약 2만 건의 상담 및 제보를 접수하여 답변 등의 처리를 하고 있다"며 "이중 지난 2년간의 279건 이메일 상담 건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그는 "분석 결과 장시간 노동체제 종식과 법 준수를 위한 강력한 방안 마련, 노동자에게 근로시간에 대한 결정권 부여, 포괄임금약정 금지와 사용자에게 근로시간 기록의무를 부여 및 5인 미만 사업장에도 근로시간제도를 전면 적용, 시간외수당 적정 가산율에 대한 재검토와 근로시간의 정의 및 해석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대안적 노동시간 제도 설계에서 핵심이 일과 생활의 균형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창근 민주노동연구원 연구위원과 이상윤 한국노총 부장은 '노동시간 실태 및 제도 설문조사 결과 분석'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대부분 노동자가 노동시간을 1주 52시간 체제로 인식하고 1일 단위 실노동시간 상한을 8시간 또는 12시간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으며 장시간노동 관행이 개선되었다는 응답이 적었고 '월 단위 연장노동시간 규제' 정책이 건강권을 심각하게 위협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윤 정부가 추진하는 유연근무제 도입 확대 등이 건강권을 위협할 것이고 노동시간에 대한 사용자 재량권 확대, 임금 감소 등 부정적 의견이 다수였고 5인미만 사업장, 특수고용 노동자 등의 노동시간 규율 사각지대 해소와 장시간노동 사업장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 저임금은 여전히 장시간노동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어서 적정 임금을 보장하는 대책이 노동시간 규제 정책에 필수적이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