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삼성동 아셈타워에서 바라본 강남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2022.11.23
연합뉴스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아파트 구매한 사람들)'의 비명이 계속되고 있다. 집값 급등 시기에 무리하게 집을 샀던 이들은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에 신음하고 있다. 올해 초까지도 '집값 상승'을 외치며 아파트 매수를 부추겼던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보수신문과 경제지들이 오히려 이들에게 책임을 돌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입에 비해 과도한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산 영끌족들은 주로 기본 자산이 부족한 2030세대들로 이뤄져 있다. 집값 급등 시기였던 2020~2021년,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은 꾸준히 늘었다.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아파트 매입 통계를 보면 2020년 2030세대의 매입비중은 29.2%였고, 2021년에는 31%까지 늘었다.
특히 서울의 경우 2021년 2030 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은 41.7%에 달했다. 서울 아파트값이 평균 10억을 호가하는 가운데, 이른바 '상투를 잡았던(가장 고가일 때 구매)' 셈이다. 그러면서 2030세대 중 취약차주(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상태 이거나 저신용 등급인 사람들을 뜻함) 비율도 커졌다.
한국금융연구원의 '금리 상승기의 취약차주 부실 관리 정책체계에 관한 소고' 보고서를 보면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DSR) 비율이 40% 이상인 취약차주는 전체의 18%였다. 이중 주택담보대출이 있는 20대 취약차주 비중은 27%였고, 30대는 23%로 평균보다 높았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대까지 끌어올리고, 시중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대를 넘어서면서 이들 영끌족의 부담도 급격히 늘어났다. 아파트를 영끌해서 매수한 뒤, 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늘면서 "라면만 먹고 산다"던 30대 가장의 라디오 인터뷰(11월 4일 방송된 '김현정의 뉴스쇼')는 이런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한국금융연구원은 대출 금리가 1%포인트(올해 6월 기준) 오를 경우, 주택담보대출이 있는 20대 중 취약차주 비중은 27%에서 33.1%로, 30대 중 취약차주 비중은 23.2%에서 29.8%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누구 탓일까
2030세대가 영끌을 하게 된 것은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공포 심리가 자리 잡았던 탓이 크다. 여기에는 보수·경제신문들의 여론몰이도 한몫 했다.
영끌족이 아파트 매수에 나섰던 2020년과 2021년, <조선>과 <중앙>, <동아> 등 보수신문과 <한국경제>와 <머니투데이>, <매일경제> 등 경제지들은 모두 '집값 상승' 전망 기사를 쏟아냈다. 이들 언론들이 낸 집값 상승 기사는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지만, 정작 '영끌' 위험성을 경고하는 기사는 거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