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5부작’으로 명명해도 좋을 책들을 기획·출간한 김도형 씨.
김훈 제공
몇몇 사람들은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고향이 더 이상 무슨 의미가 있냐"고 말한다. 현대 도시는 태어나고 자란 공간에 대한 기억을 흐리게 한다. 이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기도 하다. 그러나 모두가 그렇게 느끼고 생각하는 건 아니다.
인간의 유소년 시절 '기억'과 '그리움'은 대부분 고향과 연관돼 있다. 이는 동서와 고금이 다르지 않을 터. 지지난해 시작해 최근까지 포항과 관련된 책 5권의 기획·출간에 깊숙이 관여한 사람이 있다. 이런저런 자리에서 '내 고향 포항'에 대한 애정을 무시로 드러내는 김도형(55)씨다.
대학에선 국문과를 공부했고, 출판 편집자 이력이 있는 그는 재작년 하반기부터 <포항문화의 상징과 공간> <포항의 해양문화> <원로에게 듣는 포항 근현대사> 1권과 2권, <포항-빛, 물, 철이 빚어낸 천일야화의 땅>이 출간되는 과정을 주도했다. '포항 5부작'으로 불러도 좋을 이 책들은 김도형씨의 고향 사랑이 지역에 대한 관심과 기록 욕구로 진화한 사례라고 봐도 무방할 듯하다.
책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포항을 향한 애정을 드러내고 있는 그는 "앞으로도 다양한 사진, 그림과 함께 포항의 역사와 아름다움을 펼쳐 보이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바쁜 일상을 살면서도 시간을 쪼개 자신의 고향이 가진 진면목을 독자들에게 알리고 있으니, 김씨는 이제 '지역학 연구자'로 중년을 보내고 있는 셈이다.
지난 1월 말, 짙푸른 포항의 겨울 바다가 배경으로 출렁이는 조그만 카페에서 김도형씨를 만났다.
아직도 귀에 쟁쟁한 포항역의 말발굽 소리
- 경북 포항에서 유년을 보낸 것으로 안다. 태어난 동네와 1970년대 초반 당신이 기억하는 동네는 어떤 모습인가.
"지금 북구청사가 있는 중앙초등학교 근처에서 태어났는데 기억에는 남아 있지 않다. 초등학생 시절 남빈동 가구상 거리에 살았던 기억은 점점이 남아 있다. 집 근처에 제일교회가 있었고, 길 건너편에는 죽도시장이 있었다. 붉은 벽돌에 푸른 담쟁이가 드리워진 고색창연한 예배당과 시끌벅적한 장터는 너무나 대조적인 분위기였다. 이를테면 나는 성(聖)과 속(俗)의 한가운데서 유년을 보냈던 셈이다.
당시 수레를 끌고 가던 말들의 모습도 인상 깊게 남아 있다. 포항역에서 시멘트 등을 가득 싣고 출발한 마차(馬車)가 남빈동 가구상 도로를 거쳐 동빈내항 쪽으로 이동했는데, 따가닥따가닥 하는 말발굽 소리가 지금도 귀에 쟁쟁하다. 그리고 그 말들이 싸놓은 큼지막한 똥덩어리가 도로 위에 덕지덕지 있던 모습도 기억에 선명하다."
- 중고교 시절도 포항에서 보냈다. 포항 학생들의 특징이랄까,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기질 같은 게 있었는지.
"대학 가기 전에는 포항을 벗어나 본 적이 없기에 다른 지역 학생들과 구분할 재간은 없다. 하지만 학생이고 어른이고 간에 성격이 시원시원하고 분명한 것 같다."
- 대학과 군대 시절, 대학 졸업 후 서울에서 직장생활 할 땐 포항을 떠나있었다. 그때 가장 그리웠던 고향 풍경은.
"나는 유년 시절부터 동빈내항과 영일만을 보고 살았다. 대학에 입학한 후 바다를 못 보니까 정말 갑갑하더라. 그 때문에 잠시 향수병을 겪었던 것 같다. 대학 시절 해도동 고속버스터미널에 내리면 환여동 집까지 걸어서 갔다. 해도동에서 죽도시장, 동빈내항, 영일대해수욕장을 거쳐 환여동까지 자박자박 걸어간 것이다. 아마 본능적으로 그 길을 걸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