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쇼&퀴즈쇼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
tvN
텔레비전을 즐겨보지 않지만 몇몇 예능은 챙겨보는 편이다. <유 퀴즈 온 더 블럭>이 그렇다. 첫 방송부터 마음에 들었다. 원래 방송 콘셉트는 유재석씨와 조세호씨가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시민들을 만나 사는 이야기를 나누고 고민을 들어주는 거였다. 나에게는 그것이 영상으로 보는 (혹은 듣는) 사는 이야기 같았다. 내가 사는 이야기를 보고 느낀 감정이나 감동을 이 영상에서도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보는 즉시 맞히고 싶다
코로나 이후에는 주제를 정하고 그에 맞는 게스트를 스튜디오에 초대하는 콘셉트로 바뀌었지만 내용이 크게 달라지는 건 없었다. 이 방송 덕분에 화제가 되어 만나고 싶었던 사람, 몰랐던 일의 세계, 궁금했던 인물에 대한 속 깊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좋았다.
글을 정독하듯 영상을 응시했다. 책이었다면 밑줄 좀 쳤을 것 같은 문장들이 출연자들의 음성으로 읊어졌을 때 나의 계속 그 말을 되뇌었다. 잊지 않으려고. 글쓰기에서 인용하면 좋을 문장들이 출연자들의 입에서, 방송 자막으로 차고 넘쳤다. 때론 부러 적기도 했고, 놓친 말들은 블로그나 기사를 찾아가면서 확인하곤 했다.
그러다가 연예뉴스 기사 제목을 유추해보기도 했다. '이 워딩은 제목으로 쓰기 딱 좋겠다' 싶은 것들은 실제 같은 제목으로 기사화 되기도 했다. 그게 재밌어서 '이 제목으로 기사가 될까, 안 될까?' 혼자 내기도 해봤다. 혼자 하는 내기가 뭐 그리 재밌을까 싶지만 나름 진지했다.
설명이 다소 길었는데 내가 이 프로그램에서 정말 몰입해서 보는 코너는 따로 있다. 바로 퀴즈 시간이다. 인터뷰 끝에 진행자들이 출연자에게 "퀴즈를 맞히겠냐?"라고 물어서 동의하면 문제를 내는데 그게 나름 재밌고 짜릿하다. 왜냐고? 맞히면 '현금' 100만 원을 주기 때문이다! 퀴즈를 맞힌 사람들이 현금 100만 원을 받으면서 "진짜 주는 거냐?"라고 묻는데, 방송에서 이 말을 들을 때마다 어찌나 부럽던지.
정답을 맞히지 못해도 출연자들은 '자기백(상품이 적힌 공들을 모아둔 가방)'에서 상품을 하나 고를 수 있는데(이걸 보고 나는 제작진이 참으로 인간적이라 생각했다), 이것도 심장을 쫄깃하게 하는 시간이다. 내가 받는 것도 아닌데!
퀴즈 문제를 들으면서 아는 문제면 "아싸, 맞혔다", 모르는 문제면 "이건 나도 모르겠는 걸", 아는 문제인데 기억이 나지 않으면 "아, 이거 뭐였더라... 아는 건데 왜 생각이 안 나니", 비슷하게라도 맞히면 "아, 그래도 맞잖아" 하는 다양한 반응이 튀어나왔다. 이게 뭐라고 손에 힘이 잔뜩 들어가 있는 나를 발견하기도 했다.
그러고 보니, 가끔 독자에게 퀴즈를 내는 형식의 제목을 만날 때 이와 비슷한 감정에 빠지게 되는 것 같다. 가령, 이런 제목을 보게 되었을 때가 그렇다.
'달달한 수박은 꼭지가 싱싱해? 시들해?'
퀴즈형 제목이 주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