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역(국)사 교과서의 제주4.3서술 제주4.3을 다루기 시작한 1973년부터 중학교 역(국)사 교과서 서술 변화 흐름.
박진우
김대중 정부인 2002년 국정 교과서 <국사>에는 "공산주의자들이 일으킨 폭동과 반란"이 빠지고 "소요 사태"와 "사건"으로 기술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역사학계의 여러 논문과 1995년에 제주도의회에서 발간된 '제주도 4‧3 피해조사 1차 보고서', 1997년에 발간된 '제주도 4‧3피해조사 보고서' 등으로 4‧3에 대한 진실이 교육계에도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민일보>가 1989년부터 1999년까지 10년 동안 5000여 명의 증언을 10년 동안 500여 회를 연재되면서 수 많은 증언과 미국 기록 등으로 진실이 밝혀지기 시작한 결과이다.
그리고 여야 정치권에서도 4‧3의 진실을 밝히자는 논의가 진행되며 여야 모두가 4.3특별법안을 발의했고, 1999년 12월 16일 여야 합의로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아래 제주4‧3특별법)'이 제정되면서 더 이상의 역사 왜곡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2002년은 제7차 교육과정으로 교과서가 검인정 제도를 도입하면서 <한국 근․현대사 교육 내용 전개의 준거안> '국내외 정세와 연관'된 영역에 제주4‧3을 서술하도록 하였고, <교육과정>에는 '6․25 전쟁'영역에 서술하도록 하면서 출판사마다 관점의 차이가 있지만 '냉전주의적 반공주의 역사관'이 조금씩 금이 가기 시작했다.
2011년부터 시작된 중학교 검정제 교과서인 <역사> 중 미래인 출판사가 발행한 교과서에는 4․3사건의 전개 과정 외에, 이후 선거 재실시 사실과 2000년대 들어 전개된 정부 차원의 4․3 진상규명 작업까지 소개하여 진실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지만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는 제주4‧3의 배경과 원인, 주도세력, 진행 과정, 희생자 및 피해 정도, 진압에 대한 헌법과 법률의 정당성 여부, 가해자(국가와 명령권 자), 진상 규명 노력 등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이 없었다.
그러다 2014년 '좋은책신사고' 출판사가 <역사>② 교과서에서 제주4‧3과 여순10.19를 소항목으로 분리하여 제주4‧3특별법과 정부가 발간한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아래 4‧3진상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서술하기 시작한했다.
그러자 박근혜 정부는 역사 교과서에 4.3의 진실에 대한 서술을 막기 위해 2015년에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고시했으나, 탄핵으로 왜곡된 교과서는 폐기되었다.
대전대학교 역사학 교수이자 중등 역사 교과서 집필자인 도면회 교수는 "1987년 민주화 대투쟁을 통해 4.3에 대한 접근 방식에 변화의 물꼬가 트였고, 참여정부 시기인 2006년부터 '폭동' 대신 '좌우익의 충돌 과정'으로 서술하기 시작하였다. 2011년부터 중학교 검정제 교과서를 통해 가해자가 '군경'임을,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음을 서술하기 시작했고, 2017년부터는 4‧3의 시작점을 '1947년 3월 1일'로 서술하고 있지만 4.3항쟁의 원인 중 하나인 육지 경찰과 서북청년단 등 우익청년단체의 야만적 폭력성을 명시하지는 못하고 있다"며 향후 가해자에 대한 부분이 추가 서술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2017년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검인정 역사교과서 4‧3집필기준개발 연구용역'을 통해 중등 역사 교과서의 '집필기준안'을 마련하여 교육과정 학습요소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제출하고 교육부 고시가 이루어져 2019년 검인정 국사교과서부터 진실을 기술하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2022년부터 중학교 역사 교과서부터는 대한민국 정부가 발간한 4‧3진상조사보고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제주4‧3의 배경과 피해 현황에 대해 서술하기 시작했는데 동아출판의 교과서가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교과서는 역사의 힘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