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킬러문항' 없애기보다 더 중요한 것

[주장] 2025년 전면시행 고교학점제, 연착륙이 중요하다

등록 2023.06.22 13:02수정 2023.06.22 13:02
0
원고료로 응원
a

공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 브리핑하는 이주호 21일 오전 이주호 교육부총리가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룸에서 공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 권우성

 
대통령이 수능 킬러 문항에 대해 깨알 지시를 하고 난 뒤, 우리나라 교육 현장이 난리통이라는 보도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우리나라 전체 교육 현장이 아니라 고등학교가 난리가 났다고 해야 한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고등학교 중에서도 수능을 통해, 즉 대입 정시 전형을 통해 소위 상위권 대학에 진학을 많이 시키는 고등학교에서 난리가 났다고 해야 마땅하다. 대학에 진학하는 데 수능이 필요하지 않은 학생들의 비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내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도 수능을 통해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는 형편이라, 대통령의 수능 관련 발언으로 그 어떤 혼란이나 난리도 벌어지지 않고 있다.

수능보다 훨씬 강력하게 우리나라의 모든 고등학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도가 2025학년도부터 고등학교에 전면적으로 시행되는 '고교학점제'다. 가히 혁명적 변화를 몰고 올 수도 있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대학과 마찬가지로 정해진 학점을 취득하면 고등학교를 졸업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이제까지는 기준 단위수를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했다. 지금 고등학교는 고교학점제로 인해 이런저런 몸살을 앓는 중이다.

고교학점제의 핵심은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보장'이라고 한다. 현재 교육과정도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보장하게 돼 있긴 하다. 다만 겉보기엔 그런 듯하지만 실제적으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꽤 여러 학교에서 발견되는 문제가 있다.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됐을 때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눈여겨봐야 한다.

학생 선택권 확대 보장에 못지않게 고교학점제에서 중요한 요소는 '절대평가의 시행'이다. 지난 21일 교육부의 '공교육 경쟁력 제고방안' 발표에 따르면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는 공통과목(주로 고1 과목) 내신 전면 성취평가제(절대평가)는 적용하지 않는다.

현재는 공통 과목이나 일반 선택 과목은 상대평가, 진로 선택 과목은 절대평가를 적용하고 있다. 1등급에서 9등급까지로 나뉘는 상대평가 과목의 성적이 고교 내신성적의 핵심이고, 이 성적이 대입 학생부교과전형의 절대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에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비록 공통교과는 상대평가지만 그외 과목에 절대평가가 도입되면, 고교 내선 성적의 변별력이 분명하게 떨어질 것이다. 대부분의 고등학교에서 시험 문제 쉽게 내기 경쟁이 펼쳐질 게 명약관화하기 때문이다. 절대평가가 시행되면 90점 이상 A, 89점~80점 B, 79점~70점 C, 69점~60점 D, 59점 이하 E로 평가하게 될 것이다. 감히 예상하건대, 대부분 과목의 평균 점수가 80점을 웃돌 것이고 일부 과목은 90점을 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금도 절대평가가 적용되고 있는 진로 선택 과목은 지나치게 쉽게 출제되고 있다. 내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를 예로 들어보겠다. 진로 선택 과목은 80점 이상이면 A, 79점~60점이면 B, 59점 이하이면 C로 평가한다. 지난해 우리 학교 기하 과목의 평균 점수가 80점을 훌쩍 넘었다. 수학 교과에 속한 과목의 평균 점수가 80점을 넘긴다는 사실은 정말 놀라운 일이다.

상대평가를 적용해 1등급에서 9등급까지 등급을 산출하는 일반 선택 과목인 국어 교과의 화법과 작문 과목의 평균 점수는 70점 정도였다. 수학 과목 평균 점수가 국어 과목 평균 점수보다 10점 이상 높았다. 일반적으로는 일어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 기하 과목 시험 문제를 의도적으로 쉽게 출제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다소의 편차는 있었지만, 내가 알아본 대부분의 우리 학교 진로 선택 괴목의 평균 점수는 지나치게 높았다. 가급적 학생들에게 A를 안겨주고 싶은 교사들의 배려심이 작동한 결과가 아니겠는가. 진로 선택 괴목에서 B를 받는 순간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에 합격하기는 하늘의 별 따기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a

고교학점제의 연착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책 ⓒ 이준만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면 이런 현상이 심화하리라 예상한다. 어떤 교사가 적정한 난이도로 시험 문제를 출제해 A와 C를 맞는 학생 비율은 적고 B를 맞는 학생 비율이 많은 정상 분포 곡선을 만들려 하겠는가? 만일 소신대로 그렇게 문제를 출제했다가는, 그 교사는 여기저기에서 쏟아지는 따가운 눈총을 견딜 수 없으리라 생각한다.

과거 고등학교에 절대평가가 전면적으로 시행된 적이 있었다. 내 기억으로 당시 내가 근무했던 학교의 거의 모든 과목의 평균 점수가 90점을 상회했다. 변별력은 사라졌다. 학교 측에서 시험 문제를 쉽게 출제하라고 공식적으로 이야기하지는 않았지만, 쉽게 출제한다고 문제 삼지도 않았다. 아니, 은근히 방조했다고 해야 옳다.

그 당시 인근 학교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 어떤 수학 교사가 소신껏 시험 문제를 출제했다. 평균 점수가 70점 정도 나온 걸로 기억한다. 수학 과목 평균 점수치고는 높은 편이라 할 수 있지만, 그 교사는 그 일로 인해 큰 곤욕을 치렀다.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원성이 너무너무 자자해서, 그 교사는 이듬해 다른 학교로 전근했다. 우리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학생들의 평균 성적이 수직 상승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고교학점제로 절대평가가 전면적으로 시행되면, 이런 사태가 벌어지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있는가. 시험 문제를 쉽게 출제해서 평균 점수를 상승시키는 행위를 막을 장치가 있는가. 우리나라 교사들이 소신껏, 양심껏 문제를 내리라고 기대할 수 있는가. 기대하기 어렵다. 자신에게 쏟아지는 온갖 비난을 무릅쓰고 적정 난이도를 유지하려고 하는 교사는 거의 없을 듯하다.

이런 상황이 실제로 벌어진다면 고교 내신성적의 변별력이 없어지게 된다. 우수한 학생을 뽑고 싶은 대학에서는 어떻게든 변별력을 확보하려고 노력할 터이다. 여기에다가 만약 수능의 변별력마저 없어진다면 대학에서는 대학별 고사를 실시하려고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대학별 고사를 위한 사교육이 창궐하게 될 터이다.

어쩌면 나의 이 모든 생각이 기우일 수도 있다. 아니 기우였으면 좋겠다. 교육부에서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으리라고 기대해 본다. 어떤 대비책도 없이 고교학점제를 밀어붙이지는 않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하면서도 요즘 돌아가는 상황을 볼 때 걱정이 되기는 한다. 어느 특정인의 생각이 전체적인 기조를 흔들어 버리고 그 생각에 큰 문제가 있는데도 아무런 문제 제기를 하지 않는 작금의 사태에 비춰볼 때 심히 염려가 된다.

고교학점제는 고등학교 교육에 매우 긍정적인 일대 변혁을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만 거기에 걸맞은 평가 방법과 수업 방법이 뒤따라야 한다. 대학 입학 전형 방법도 필히 변해야 함은 물론이다. 만약 이런 변화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고교학점제는 태풍이 휘몰아치는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돛단배 같은 처지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덧붙이는 글 브런치 스토리에도 실립니다.
#고교학점제 #수능 킬러 문항 #평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30년 넘게 교사로 재직 중. 2년을 제외하고 고등학교에서 근무. 교사들이 수업에만 전념할 수 있는 학교 분위기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는 작은 바람이 있음. 과연 그런 날이 올 수 있을지 몹시 궁금.

AD

AD

AD

인기기사

  1. 1 샌디에이고에 부는 'K-아줌마' 돌풍, 심상치 않네
  2. 2 황석영 작가 "윤 대통령, 차라리 빨리 하야해야"
  3. 3 경찰서에서 고3 아들에 보낸 우편물의 전말
  4. 4 '25만원 지원' 효과? 이 나라에서 이미 효과가 검증되었다
  5. 5 하이브-민희진 사태, 결국 '이게' 문제였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