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마을 전경
현성자·이용남
▶
아이-뷰 바로가기 (https://enews.incheon.go.kr/)
인천 강화군 서도면의 가장 끝 섬인 '말도(唜島)'는 북한과 초 접경지역에 있다. 민통선 지역으로 교통편은 행정선밖에 없고 그 배가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행정선은 월·화·목·금요일 등 4일만 운행한다.
출입이 쉽지 않은 섬에 들어간다는 생각에 출발 전부터 설렌다. 아차도, 볼음도, 주문도 다음 맨 끝에 있어 '끝점' 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으며 북녘 연백평야가 바로 눈앞에 마주한다.
북한과 가까운 접경지역이라 약간 긴장이 되고 정전상태의 우리나라 현실이 체감으로 느껴져 살갗에 소름이 돋는 떨림으로 다가온다. 김진복(55) 선장이 운행하는 행정선인 강화단군아라호를 타고 뱃멀미 없이 한 시간 이상을 달려 말도 선착장에 도착했다.
마침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주민인 김정만(71)씨를 만나 말도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그는 경기도 안산이 고향으로 활어 장사를 하러 들어왔다가 어로 작업을 할 수 없어 24년째 벼농사와 밭농사를 하며 아내와 살고 있다. 벼농사는 저수지와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쌀은 전량 정부에서 수매한다. 말도에서는 3가구가 벼농사를 하고 있으며, 그 규모도 상당히 넓다. 밭농사는 판로가 마땅하지 않아서 이웃과 나누어 먹고 산다고 아쉬워했다.
마을에 들어서니 윤남란(69)씨가 허리만큼 자란 시금치 밭의 풀을 매고 있었다. 말도에 들어와 겪은 가슴 아픈 일은 말로 다 못 한다. 몸이 아플 때 바로 병원에 갈 수 없어 배를 불러야 하는 게 제일 불편하다고 토로한다.
김근동(83) 할아버지가 말도의 잘나가던 시절 이야기를 시작했다. 군대(강원도 원통)에 간 세월 빼고는 말도를 떠난 적이 없다는 그는 6.25 때도 피란을 따로 가지 않았다고 했다. 전쟁의 포화도 없던 곳이라는 것.
교동에서 좌익이 배를 타고 들어오면 슬픈 노래를 부르는 암호를 정해 태극기를 얼른 내려 감췄다. 80가구가 살았을 때는 젊은이들이 많아 좌익들이 왔다갔지만 얼씬 못하고 도망갔다고 그는 회상했다. 당시에는 민어, 숭어, 농어, 가오리, 꽃게 등이 쉽게 잡혀 섬에 돈이 잘 돌았다. 당시는 교통도 괜찮아 이른바 기생집이 15곳이 있었고 사람도 북적이며 고기도 잘 잡히는 섬이었다. 말도의 황금기였다.
전쟁과 분단으로 쪼그라들었지만... 아름다운 인심이 남은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