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선보일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작품, 서울 전시 먼저

23일부터 인사동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실 ... 11월 진주 철도문화공원

등록 2023.09.24 10:52수정 2023.09.24 10:52
0
원고료로 응원
a

서울 인사동 소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프레오픈-진주소목 전시” ⓒ 진주시청

 
경남 진주지역 공예 장인들이 현대가구 디자이너와 함께 만든 작품이 서울에서 한꺼번에 전시되고 있다. 22일부터 서울 인사동 소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사전행사-진주소목 전시" 행사다.

개막식에는 조규일 진주시장, 장동광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 이영혜 디자인하우스 대표, 조정일 더한옥호텔앤리조트 대표, 하형주 국민체육진흥공단 상임감사 등 인사와 작가들이 참석했다.


'진주소목 전시'는 "두다, 담다, 쉬다"의 주제로 진주소목장인들의 작품 8점과 12명 대가들의 협업작품 20점이 23일부터 10월 8일까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실에서 선보인다. 전통 가구 명장 6인과 유명 현대 가구 디자이너 6인의 협업작품이 관심을 끈다.

협업에 참여한 진주소목장인은 정진호(단원공방, 경남도 무형문화재 제29호), 조복래(취목공방, 경남도 무형문화재 제29호), 김병수(한송공방, 대한민국 가구제작 명장), 강종렬(고전공방소목가구제작 50년), 구한회(율목공방 소목가구제작 60년), 정권석(의천공방,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소목장 이수자)씨다.

전통소목에 현대적이고 실용성 디자인을 입힌 작가는 2020 문화체육관광부 올해의 공예상에 선정된 계원예술대학교 리빙디자인과 하지훈 교수, 한국공예전 출품 경력을 자랑하는 이현정 교수, 영남대학교 디자인미술대학 정명택 교수,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김경원 교수, 지갤러리 황형신 대표, 창원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김정섭 교수이다.

소목장은 가구와 창호 등을 제작하는 장인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랑방, 안방, 부엌 등에서 사용하는 가구를 제작하는 목수를 말한다. 진주는 소목장들이 많이 모여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유네스코가 인정한 공예 창의도시이다.

진주 소목은 1991년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소목장 고(故) 정돈산을 비롯하여 현재에는 김병수, 정진호, 김동귀, 강종렬, 구한회, 김광명, 조복래, 정권석 등에 의해 현재까지 활발하게 이어져오고 있다.


조규일 진주시장은 환영사 통해"지리산의 풍부한 목재수급으로 예로부터 국내 최고의 공예작품으로 인정받아온 진주의 소목이 올해 비엔날레를 통해 새롭게 조명되고 K-공예의 맥으로 세계를 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의 본전시는 "오늘의 공예, 내일의 전통"을 주제로 11월 1일부터 한 달간 진주시 철도문화공원에서 열린다.
 
a

서울 인사동 소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프레오픈-진주소목 전시” ⓒ 진주시청

  
a

서울 인사동 소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프레오픈-진주소목 전시” ⓒ 진주시청

  
a

서울 인사동 소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프레오픈-진주소목 전시” ⓒ 진주시청

  
a

서울 인사동 소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프레오픈-진주소목 전시” ⓒ 진주시청

  
a

서울 인사동 소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프레오픈-진주소목 전시” ⓒ 진주시청

#소목장 #진주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사 3년 만에 발견한 이 나무... 이게 웬 떡입니까
  2. 2 도시락 가게 사장인데요, 스스로 이건 칭찬합니다
  3. 3 '내'가 먹는 음식이 '우리'를 죽이는 기막힌 현실
  4. 4 장미란, 그리 띄울 때는 언제고
  5. 5 '입틀막' 카이스트 졸업생 "석유에 관대한 대통령, 과학자에게도..."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