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윤석열정권 선관위 장악시도 중단 촉구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남소연
시스템 점검, 선관위가 안 받겠다는데 국정원이 설득했다?
강 의원은 그중 시스템 두 곳에서 발견된 파일들을 가리키며 "이 파일들은 선관위나 국정원의 해명과는 달리 처음부터 (국정원이 점검 과정에서 사용하겠다고 밝힌) '점검 도구 목록' 자체에 없었다"며 "보안 전문가를 통해 확인해 보니 목록에 있던 점검 도구들을 삭제하는 과정에서 누락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없으며 이 파일들이 시스템에 침투한 건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전문가는) 발견된 파일은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스캔'해 취약점을 파악해 내는 '셸 스크립트 파일'과 'cgi 스크립트' 등이며 이는 전형적인 해킹 프로그램 파일들로 판단된다고 했다"라며 "선관위와 국정원은 마치 합의에 따라 남겨진 파일을 삭제한 것처럼 해명하고 있지만 (점검 도구)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해킹 파일을 국정원이 남긴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여기서 한술 더 떠 "보안 컨설팅을 통해 국정원이 선관위 시스템의 모든 설계와 취약점을 파악한 걸로 알려졌다"라며 "보안 컨설팅의 의도가 무엇인지, 왜 목록에 없는 의문의 파일들을 침투시키고 (선관위 시스템에) 남겼는지 강한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밖에도 강 의원은 국정원이 정보보안시스템 점검 요청에 답하지 않은 선관위를 상대로 집요하게 컨설팅을 받도록 압박해 왔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지난 1월 행정안전부, 국정원은 유례없이 보안 컨설팅을 실시한다는 공문을 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 감사원 그리고 선관위 등 각 기관에 보냈는데 감사원만 자발적으로 응해 2주간 홈페이지 보안 점검을 했다"며 "(나머지 기관들은) 국정원의 보안 컨설팅에 응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는 선관위는 정치적 중립성이 문제 될 수 있다며 명백히 점검 거부 의사를 밝혔음에도 국정원이 직접 선관위 관계자와 지난 3월 외부에서 만나고, 전화 연락을 해오는 등 집요하게 국정원 컨설팅을 받도록 압박했다는 점"이라며 "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는 선관위와 달리 국정원의 별도 연락을 받은 바 없다"고 의구심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내일은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 종합감사 날이다. 국정원은 지난주 저를 포함한 행안위 소속 민주당 10명의 의원들이 국감법에 따라 위원회 차원에서 요구한 자료 제출 요구에 아직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선관위가 국정원과의 합의에 따라 남겨진 파일을 삭제했다는 해명이 사실과 다르다는 점과 국정원 보안 컨설팅을 포함해 부당한 선관위 장악 시도에 대해 집중 질의해 추가 문제점을 밝히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강 의원은 이날 간담회 모두발언 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 과정에서 '해당 파일의 정체'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선관위는 (국정원 점검 도구를) 몇 날 며칠에 삭제했다고만 말하지 그 파일이 무엇인지는 말하지 않고 있다"라며 "전문가 입회하에 파일을 공개하기로 했으나 선관위는 내용이 공개되지 않는 문서를 가져왔다. 국정원으로부터 상당한 압박을 받는다고 저희에게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같은 자리에 있던 홍익표 원내대표는 "국정원의 선관위 흔들기는 정권의 야욕에 복무하면서 한편으로 국내 정보 수집의 부활을 꿈꾸며 정치와 선거에 개입하겠다는 '대국민 선전포고'"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정원은 정치·선거 개입 꿈도 꾸지 말라"라며 "국정원이 섬겨야 할 대상은 정권이 아니라 국민"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8
공유하기
"선관위에 국정원 정체불명 파일 벌써 15개... 선거개입 의도"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