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으로 사이즈가 조절되며 팔목의 형상에 착 맞춰지는 셀프 피팅 기능 구현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오그제틱 메타 구조로 매듭지어 제작한 옷감형 액추에이터는 3D 방향으로 전체 수축 및 이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착용자의 신체 형상에 순응하며 셀프 피팅하는 기능이 구현되었다.
오일권 KAIST 교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오그제틱(auxetic) 메타 구조' 형태로 매듭지어 형상 적응이 가능한 옷감 형태의 착용형 '햅틱(haptic) 인터페이스'가 개발됐다.
예로 들면, 영화 <스파이더맨>의 주인공이 입은 슈트처럼 굴곡진 자신의 몸에 사이즈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착 맞춰지는 옷감형 웨어러블 햅틱 기술이다. 햅틱은 힘·진동·모션을 적용함으로써 터치의 느낌을 구현하는 기술로 '스마트폰 터치 진동'이 대표적이다.
한국연구재단(NRF, 이사장 이광복)은 6일 오일권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이같은 옷감형 액추에이터(actuator)를 선보였다고 알리면서 "연구팀이 개발한 착용형 햅틱 인터페이스는 촉각 정보를 활용한 보행 로봇, 무인기 제어와 같은 국방 기술뿐만 아니라, 메타버스가 접목된 의료,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민간분야에도 높은 활용성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참고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란 상온에서 모양이 쉽게 변형되고, 특정 온도에 도달하면 힘과 움직임을 발생시키면서 미리 기억된 형태로 되돌아가는 특징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을 철사처럼 가늘고 길게 제작한 것이다. 그리고 '오그제틱 메타 구조'란, 특이한 물성을 띠는 메타물질 중 하나인 오그제틱 구조체는 자연계의 물질과는 다른 독특한 탄성을 갖는데 고무줄 등과는 달리 누르면 수직방향으로 같이 줄어들고 당기면 수직방향도 같이 커진다.
오일권 교수 연구팀이 이번 개발을 시작한 게 된 배경에 대해 "온‧오프라인의 경계는 점점 모호해지고, 메타버스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가상‧증강‧혼합현실로 우리 생활 무대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라며 "시·청각 기반의 플랫폼에는 한계가 있고, 피부 표면으로 전해지는 직관적인 촉감으로 메타버스 속 상호작용 몰입도를 높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현실 변화의 핵심에 있는 기술 중 하나가 '착용형 햅틱 인터페이스' 기술이며, 옷을 입듯 햅틱 슈트를 착용하고 가상현실에 접속해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몰입할 수 있게 해주는데 있어 '햅틱 슈트'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감응하고 촉각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기존 '햅틱 인터페이스'는 피부에 부착하거나 별도의 고정 장치를 착용해 사용하는데, 이같은 착용(부착)형 햅틱 인터페이스는 장시간 사용 시 피부 발진의 위험이 있고, 고정 방식은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 수십 개의 촉각 전달 소자를 장착해 촉감을 모방하는 기존의 제작 방식 역시 장치의 무게‧부피 증가로 이어지는 한계를 보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