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교육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발표한 '교육발전특구 추진계획' 시안 중 선순환 체계안 발췌
교육부
지난 2일 공개된 '교육발전특구 추진계획' 시안에는 대학의 지역인재 특별전형 확대를 비롯한 여러 가지 내용이 담겨있지만, 단연 이목을 끄는 것은 '지역 명문학교' 만들기였다.
교육계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에서 폐지를 추진했던 자사고와 외고, 국제고 등이 화려하게 부활하고, 기업에 위탁해 운영하는 '협약형 공립학교(≒미국의 차터스쿨)'가 만들어질 수도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또 윤석열 대통령은 시안이 발표된 날, 대전에서 열린 제1회 지방자치 및 균형발전의 날 기념식에서 "교육과 의료는 바로 지역의 기업 유치, 곧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핵심"이라며 "교육 혁신은 바로 지역이 주도해야 한다. 중앙정부가 쥐고 있는 권한을 지역으로 이전하고 지역의 교육 혁신을 뒤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강조한 지방 균형 발전의 정신은 기회발전특구, 교육발전특구, 도심융합특구, 문화특구 등 이른바 '4대 특구'를 통해 구현될 예정이다.
이 중에서 교육발전특구의 경우, 내년 총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란 주장도 나온다. 한국교원대 교육정책과 김용 교수는 지난 4월 25일 열린 '윤석열 정부 1년 교육정책' 토론회에서, "교육자유특구와 명문고 설립이 2024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인기 있는 공약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관련 기사:
"윤석열 정부 교육정책? 아마추어 정부의 MB시즌2").
그는 지난 5월 <교육비평> 제51호에 실린 '교육자유특구: 지역 맞춤형 공교육을 선도할까? 교육생태계를 교란할까?'라는 제목의 논문에서도 같은 주장을 펼친 바 있다. 김 교수는 "이명박 정부 집권 1년 차인 2008년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당시 집권당인 한나라당 후보들이 '뉴타운'과 '교육특구'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워 서울에서 대승했듯이, 2024년 선거에서도 전국 곳곳, 특히 비수도권 지역에서 교육특구 지정과 명문학교 설립 공약이 난립할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짚었다.
총선용? 교육특구는 이미 실패한 정책
교육특구는 국민이 처음 경험하는 정책이 아니다. 노무현 정부 때도 전국 여기저기에 교육특구가 지정되었고, 2008년 MB정부 때는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2012년에는 교육국제화특구 특별법도 만들어졌다. 김용 교수가 제시한 통계에 따르면, 2022년 11월을 기준으로 전국에 190개의 지역특구가 있고, 그중 교육특구만 24개이다
.